정토교와 불교복지에 관한 세미나는 불교사회복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도 뜻깊은 자리이고, 이러한 차원에서 「사회복지 관점에서 살펴본 정토삼부경」은 의미있는 연구라고 생각됩니다.
논문의 내용을 보면 정토삼부경인 무량수경․아미타경․관무량수경의 사회복지적 의미에 대해서 그 핵심을 불교적 관점에서 복지국가의 지향을 명시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사회복지 관점에서 정토삼부경을 재해석하여 그 내용을 여섯 가지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내용의 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사회복지 지향점으로서 극락정토 극락정토를 사회자원이 충실한 복지에 충족한 이상사회로 사회복지 지향점인 복지국가 내지 복지사회로 볼수 있으며, 불교적 견지에서 복지국가의 이상을 표명한 것으로 보았다.
2. 보편적 관점에서의 인간구제 무량수경의 법장보살의 48서원은 이 세상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특정 대상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사회복지의 전통적인 관점인 선별주의가 아니라 전국민으로 확대되고 있는 포괄적인 성격을 띠는 보편주의 관점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보았다.
3. 비복지 상황으로서의 오탁악세 아미타경에 오탁악세를 중대한 사회악의 원인으로 보고 삼독과 오악의 고통으로 가득한 사회인 오탁악세는 불교적 관점에서, 비복지 상황은 복지적 관점에서 문제인식의 출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공통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4. 실천지향으로서의 行 법장보살의 48서원이 자신의 깨달음을 뒤로하고 중생구제를 우선하는 전형적인 이타행으로서의 보살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보살정신의 실천은 불교복지의 근본이념으로, 불교에 있어서 사회복지적 구상과 실천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고, 실천적인 면을 강조하는 사회복지와 맥을 같이한다고 보았다.
....
헤드윅 헤드윅 논평문
1. 환경적 요소만이 성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영화 ‘헤드윅’ 의 경우에서 보면, 한 셀은 어렸을 때 아버지로부터 성추행을 당한다. 그리고 미군방송을 통해, 트랜스 젠더 록커들의 영향을..
중국정토사상(中國淨土思想)의 전개 中國淨土思想의 展開
1. 序說
文化의 傳來는 획연한 年時를 논정하기 불가능한 경우가 많은데 中國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에 대해서도 학자들간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印度의 佛敎學派는 中國에 傳..
禪과 念佛의 交涉史에 대한 일고찰 禪淨一致에 관한 思想史的考察
․목차․
Ⅰ. 머리말 Ⅲ.念佛話頭의方法的融合
Ⅱ.禪淨一致의理念的統合Ⅳ. 맺는 말
Ⅰ. 머리말
禪宗과淨土宗은 중국에서 발생한 많은 다른 종파들과는 달리 오늘날까지도 살아남은 대표..
지역사찰의_사회복지활동 ○ 지역사찰의 사회복지활동
1. 머리말
(1) 불교와 사회복지의 연결
(2) 지역사회에 불교사찰의 사회복지 역할
(3) 사회복지의 전문성
(4) 사찰에서 할 수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① 사찰의 공간이용
② 자..
신라아미타[1] 新羅佛敎思想
-불교의 대중화에 공헌한 阿彌陀信仰 에 대하여-
目次
머리말
본문
1. 불교 대중화와 아미타신앙의 수용
1-1. 신라 아미타 신앙의 成立과 그背景
1-2. 신라 아미타 신앙의 성격
2. 신라인의 淨土觀..
사회복지 개념(관점)의 변화 사회복지 개념(관점)의 변화
목차
사회복지 개념(관점)의 변화
I. 잔여적 관점에서 제도적 관점으로
II. 자선에서 시민의 권리로
III.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IV. 최저 수준에서 적정 수준으로
V. 개..
[논평문] 백용성스님의 청소년 포교에 관한 연구에 대한 논평문 백용성스님의 청소년 포교에 관한 연구에 대한 논평문
근세의 대표적 고승 용성 큰스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선사, 법사, 율사 등으로 경칭되고 있듯이 선교율 등 불교의 대부분에 걸쳐 탁월한 선지식이었다...
[논평문,독후감] 마이클 샌델의‘정의란 무엇인가 을 읽고 마이클 샌델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샌델은 정의를 이해하는 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행복의 극대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는 공리주의 시각, 둘째는 정의를 자유와..
붇다와 오비구와의 관계 고찰 논평문 「붇다와 오비구와의 관계 고찰
- 고행림과 녹야원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를 읽고
Ⅰ.본 발표논문은 발표자도 밝혔듯이 부처님과 오비구(五比丘: pañcavaggiye bhikkhū)와의 관계 고찰에 있어 고행림과 녹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