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 묘 , 태종 무열왕릉
- 리포트 > 사회과학
- 김유신 묘 , 태종 무열왕릉
- 파워포인트
- 2013.03.27
- 21페이지
-
김유신 묘 , 태종 무열왕릉
김유신 묘 태종 무열왕릉
김유신 묘
태종무열왕릉
답사포인트
1.신라의 고분문화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본다.
2. 김유신 묘의 고분 형태와 의미를 진위 논쟁과 더불어 살펴본다.
3. 태종 무열왕릉이 가지는 역사적 가치를
생각해본다.
Ⅰ. 들어가면서
돌무지덧널무덤
7세기, 변화시작
돌무지 덧널 무덤
-신라 고유 형태
ex) 천마총
굴식돌방 무덤
ex)김유신 묘, 태종무열왕릉
김유신 묘
Ⅱ. 김유신 묘
1. 삼국 통일의 주역, 김유신 장군
-신라에 귀순한 금관가야왕족.
-진덕여왕 사후, 알천과 구귀족세력을 억누르고 춘추를 즉위시킴.
-660년 신라 최고 관직 상대등에 임명됨.
백제 정벌.
-667년, 73세의 나이로 고구려 원정.
-무열왕가를 받쳐주는 든든한 기둥
-‘태대각간’.
김유신(593-673)
김유신의 죽음을 들은 문무왕은 비석을 세워 그의 공적을 기록하게 하였으며, 인근 백성들을 지정하여 묘를 관리하게 하였다. 왕이 직접 장례에 소요되는 자금과 인력을 지원하고 비석과 묘지기까지 챙긴 것.
『삼국사기』
Ⅱ. 김유신 묘
2. 축조에 관한 기록
“김유신이 죽은 뒤 흥무대왕으로 봉하였으며, 그 능은 서산 모지사를
동향한 산봉에 있다.”
『삼국유사』
Ⅱ. 김유신 묘
3. 묘의 형태 및 특징
형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왕릉형식
*12지신상
*둘레돌
*좌우의 비석
*1974년에 복원된 석상
완벽한 형태-]진위를 의심받음!
Ⅱ. 김유신 묘
2) 특징
① 둘레돌과 12지신상
....
-
삼국유사
삼국유사
1. 태종춘추공
[김춘추의 가계]
태종대왕의 이름은 춘추이며, 문흥대왕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진평대왕의 딸 천명부인이며 왕비는 문명황후의 문희이다.
유신이 춘추공의 옷끈을 일부러
떨어뜨려 그 옷을..
-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
동서 미술의 이해
우리 나라 미술 감상
(1) 선사 시대의 미술
▶ 구석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 이전의 미술을 말한다.
① 석기 시대 : 뗀 석기, 간 석기, 토기 등.
② 청동기 시대 : 농경무늬 청동기, 구리 잔무늬 거울 등.
③ 낙..
-
[독후감] 하룻밤에 읽는 삼국유사
우리 민족의 개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최초로 기록해 놓았을 뿐 아니라, 우리 문화, 사상, 불교 등을 집대성한 <삼국유사>. 이 책은 <삼국유사> 전체를 읽기에 다소 부담을 가질 수 있고 또 다 읽기도 전에 흥미를 ..
-
후삼국
豪族 세력의 대두와 후삼국
신라 下代의 정치 상황
[ 진골귀족의 분열 ]
1. 경덕왕대(742-765) : 신라의 문화 절정기
(1) 새로운 사회적 문화가 싹틈 : 진골 귀족들 사이 에서 전제주의 타도 운동이 일어남
(..
-
삼국통일의대업을이룬문무왕완성본
<답사 1조 주제글>
三國統一의 大業을 이룬 文武王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무왕의 대․내외적 치적
(1) 문무왕의 삼국통일
(3) 문무왕의 왕권강화
2. 대왕암에 대하여
(1) 대왕암의 진위여부..
-
지역사회조사분석보고서(농촌지역문제해결을위한주민조직화방안
지역사회 조사분석 보고서
1.우리지역사회 지역에 대한 개요
여주읍 단현리, 여주읍 연양리, 능서면 내양리에서 구석기 유물이 수습되었으며 청동기 유적으로는 흔암리 선사주거지가 잘 알려져 있다. 마한..
-
임나문제에 대한 제 학설과 안라왜신관
임나문제에 대한 諸 학설과 안라왜신관
김태식 (홍익대)
Ⅰ. 사료의 소재
고대 한일관계사의 연구 중에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이른바 任那日本府 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문..
-
한국고대 매장양식과 내세관 (신라 고분을 중심으로)
한국종교 보고서 참고문헌 자료
주제: 한국고대 매장양식과 내세관
- 신라 고분을 중심으로
최병헌, <신라고분연구>, 서울, 一志社, 199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편, <고분벽화>,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1973
현..
-
삼국사기삼국유사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 대하여
- 목 차 -
<삼국사기>
1. 편찬자 및 편찬과정
2. 사서의 체제
3. 내 용
4. 의의 및 특징
<삼국유사>
1. 편찬자 및 편찬과정
2. 사서의 체제
3. 내 용
4. 의의 및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