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선생』
주시경(1876-1914)은 국어 연구와 운동을 통해 일제침략에 항거한 학자이다.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황해도 봉산 출생이다. 어렸을 때는 상호(相鎬)라 불렸지만 한힌샘, 백천(白泉)이라고도 불렸다. 서당에서 한문을 계속 배우던 중 신학문에 눈을 떠 1894년 9월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했다. 도중에 인천부 관립 이운학교(官立利運學校)속성과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졸업하기도 했으나 정계의 격변으로 해운계로의 진출이 무산되고, 1896년 4월 다시 배재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다. 그는 배재학당을 졸업한 뒤 홍화학교 양지과를 마치고, 정리사에서 수물학을 공부하는 등 34세가 될 때까지 신학문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
국어 사랑과 민족 정신 국어 사랑과 민족 정신
1. 주시경의 우리말 사랑
이 글은 국어 학자인 주시경의 국어 연구의 업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작성되었다.
주시경은 1876년 홍해도 평산에서 태어나 1914년에 이승을 떠났다. 그의 ..
[국문학] 한국어 문법 연구 역사의 흐름 목 차
Ⅰ. 들어가는말 --- 2
Ⅱ. 몸말 --- 2
[1] 초기 한국어 문법연구 --- 2
[2] 갑오경장 이후의 연구 --- 3
(1) 유길준의 문법 연구 --- 3
(2) 주시경의 문법 연구 --- 4
(3) 김두봉의 문법 연구 --- 6
(4)..
김윤경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한결 김윤경의 사상과 국어학
- 목 차 -
Ⅰ. 머리말
Ⅱ. 본론
1) 한결의 사상
2) 한결의 국어학
Ⅲ. 맺음말
Ⅰ. 머리말
한결 김윤경(1894~1969)은 주..
문법론-한국어 문법 연구 전개 목 차
Ⅰ. 머리말...p.1
Ⅱ. 서양인의 초기 한국어 연구...p.1
Ⅲ. 19C 말부터의 한국어 문법 연구...p.2~5
1) 유길준의 문법 연구
2) 주시경의 문법 연구
3) 김두봉의 문법 연구
4) 최현배의 문법 연구
5)..
현대국어사 - 우리말 연구 1.개관
현대국어의 시기는 20세기부터 오늘날까지의 약 1세기에 걸쳐 성장 발달해 온 국어의 공시태를 이른다. 그러므로 현대국어는 현재 우리 민족이 날마다 사용하고 있는 국어를 말한다. 현대국어의 시대는 다..
국어학개론_어소와 이형태에 관하여 어소와 이형태에 관하여
이전의 연구
주시경을 필두로 한 전통문법 : 단어를 품사론과 문장론의 단위로 삼음
이희승을 필두로 한 후기 전통문법가 : 단어는 품사론의 단위, 어절은 문장론의 단위
이숭녕을 필두로 ..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1. 종교운동의 전개
구한말에는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너지면서 각종 종교가 유입되었다. 더욱이 일제가 우리의 종교계를 친일세력화하기 위한 공작을 끊임..
국어부정문의유형명칭에대하여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머리말
일반적으로 어느 한 문법 범주에 대한 명칭은 그 범주의 문법적 특징이나 의미적 특징이 반영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를테면 종결어미가 결합되어 그 ..
최현배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
<목 차>
1. 들어가는 말 4. 인식론적 시각의 뼈대
2.「갱생의 도」, 그 민족 상황의 분석 5. 나오는 말
..
옛말의문법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목적- 자주, 애민, 실현의 정신 구현을 위함, 우리 나라의 한자음의 정리와 표기상의 통일을 기하기 위함.
배경- 사상적 배경(역학, 성리학), 학문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