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말의문법

1. 옛말의문법.hwp
2. 옛말의문법.pdf
옛말의문법
[옛말의 문법]

1.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배경, 제자원리

목적- 자주, 애민, 실현의 정신 구현을 위함, 우리 나라의 한자음의 정리와 표기상의 통일을 기하기 위함.
배경- 사상적 배경(역학, 성리학), 학문적 배경(중국의 음운학)
제자원리- 자음(발음기관 상형설+가획의 원리)과학적임, 모음(天,地, 人의三才를 본뜸)철학적임
◈ 훈민정음 창제의 국어사적 의의-국어의 역사가 분명해 졌다.

2. 훈민정음의 판본

훈민정음의 한문 판본은 1940년 전형필 씨가 안동에서 발견한 전씨본이 있다. 이것은 유일하게 ‘해례’를 수록하고 있어 제자의 원리를 밝힐 수 있었다. 일명 ‘해례본’이라한다. ‘예의’, ‘해례’, ‘정인지 서’가 한문으로 되어있다. 또한, 실록본이 있다.
훈민정음의 언해본으로는 희방사본 일명 월인석보본이 있는데 ‘예의’ 부분만을 우리말로 옮겨 놓은 것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그외 박씨본, 서강본, 카네자와본 등이 있다.

◈ 훈민정음 명칭의 변천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창제 당시 세종이 붙인 명칭으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이다. 약칭은 정음(正音)이었다. 그후 훈민정음을 낮추어 부른 이름이 언문(諺文)이었는데 이는 중국의 한문을 진서(眞書)라고 하는데 따른 것이다. 그리고 최세진에 의해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諺文字母俗所謂反切二七字) 비롯된 이름으로는 반절(半切)이 있었고, 갑오경장 이후 국어 존엄성을 자각한 뒤 생긴 이름이 국문(國文)이었다. 끝으로 주시경이 붙인 이름으로는 한글이 있었다. 이는 하나의 글, 위대한 글의 뜻으로 불리웠다.

3. 훈민정음의 짜임

훈민정음의 짜임은 첫째, 예의(例義)를들수 있다. 예의의 구성은 머리말, 창제의 취지 및 자주, 애민, 실용정신을 밝힌 어지(御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