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한국어 문법연구 ------- 2
[2] 갑오경장 이후의 연구 -------- 3
(1) 유길준의 문법 연구 ------- 3
(2) 주시경의 문법 연구 ------- 4
(3) 김두봉의 문법 연구 ------- 6
(4) 최현배의 문법 연구 ------- 6
(5) 기타 문법연구 ----------- 7
[3] 외국 문법의 도입 ----------- 7
한국어 파싱에 대한 고찰 한국어 파싱에 대한 고찰
1. 서론
1.1 파싱이란
1.2 문법체계의 선정
1.3 한국어의 특성
1.4 한국어 파싱에 관한 연구
2. 단일화 기반 문법의 이용
2.1 HPSG계열 문법체계의 이용
2.2 기타 단일화 기반 문법 파싱..
[강추][학업계획서] 연세대학교 편입 국어국문학과 학업계획서 국어국문학은 우리 문화와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학문 분야로서, 문학작품과 언어현상을 통해 인간의 삶과 사회를 깊이 탐구할 수 있는 학제적 연구의 장입니다.
현대사회에서 전통문화와 문학이 디지털 ..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목 차
Ⅰ 문학의 개관
1. 문학 일반의 고찰
(1) 문학의 기원
(2) 문학의 본질
(3) 문학의 특성
(4) 문학의 요건
2. 한국 문학의 흐름
(1) 한국 문학사의 시대 구분
(2) 한국 문학의 전체적 흐름
3. 문학..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과 과제
Ⅰ. 머리말
Ⅱ. 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
1. 전통문법적 연구: 품사론 속의 형태론
2. 구조문법적 연구: 단어구조, 어미체계, 파생접미사의 기술
3. 생성형태론: 단어형성론과 ..
한국어 문법교육론 - PPP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연결어미 교안 제시 한국어 문법 교육론
- PPP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연결어미 교안 제시
▶ PPP 수업 모형이란
PPP 수업모형은 외국어 교육을 외국어의 문법이나 문학적 연구보다는 외국어의 구어 숙달도의 성취를 교육의 주요목표..
[A+][합격][학업계획서] 건국대 국어국문과 편입학 학업계획서 저는 학업을 통해 전통문학과 현대문학 전반에 관한 폭넓고 심도 있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계획입니다.
학술세미나, 연구 프로젝트, 문학행사 참여 등을 통해 학문적 깊이와 연구역량을 꾸준히 확장할 계획..
국어학개론_어소와 이형태에 관하여 어소와 이형태에 관하여
이전의 연구
주시경을 필두로 한 전통문법 : 단어를 품사론과 문장론의 단위로 삼음
이희승을 필두로 한 후기 전통문법가 : 단어는 품사론의 단위, 어절은 문장론의 단위
이숭녕을 필두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