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배

1. 최현배.hwp
2. 최현배.pdf
최현배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

<목 차>
1. 들어가는 말 4. 인식론적 시각의 뼈대
2.「갱생의 도」, 그 민족 상황의 분석 5. 나오는 말
3. 문화 투쟁의 길, 예언자스런 윤리의식 6. 참고 문헌
참고자료(표) - 외솔 최현배의 일생

1. 들어가는 말
외솔 최현배는 1894년 10월19일에 경남 울산군 하상면 동리에서 태어나고 1970년 3월 23일 돌아가셔서 현재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장현리에 잠들어 계신다. 그는 주시경의 뒤를 이어 우리 글 연구에 평생을 받치신 분이다. 자료가 매우 풍부하고 체계 세움이 매우 정밀한「우리말본」1)1) 한힌샘 선생의 말본 연구를 이어받아, 20세기 초기의 말본 연구를 집대성하여, 우리 국어 학계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린 저서 - 허웅 「외솔 최현배론」
(1937)과 새로운 학문체계를 새운「한글갈」2)2) 한글이 우리 겨레의 슬기가 만들어낸 유산 중의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들의 학문 탐구의 가장 긴밀한 대상이 되어야 함을 생각하고, 훈민정음에 관한 모든 역사적 문제와, 한글에 관한 모든 이론적 문제를 체계적으로 구면한 것이 「한글갈」이다. - 허웅 「외솔최현배론」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