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M. H. Johnson
: 미술비평의 여러 유형들 중에서 ‘묘사’로부터 ‘분석’ ‘해석’ ‘평가’로 이어지는 펠드먼류의 과정이 가장 널리 알려지고 일반적으로 많이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는 미술작품의 분석으로 시작하여 가치평가에 이르는 단계적, 직선적인 과정은 언어에 초점이 놓여 있는 것이 마치 미술비평이 그림을 언어로 읽듯이 읽어내는 것인 양 오해할 수도 있다고 지적
하였다. 미술비평에 대한 문학적 측면의 강조는 비평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작품에서 미학적 의미보다는 문학적 의미를 깨닫도록 권장해 주는 데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펠드먼류의 ‘담화중심 비평단계’에 대한 견해
- 미술작품에 대한 직선적인 ‘언어적 접근’으로, 분석적이고 수사학적인 과정을 강조하기 때문에 미술작품의 문학적 측면들이 미학적 의미의 주된 매개체인 양 학생들에게 미술작품을 ‘읽기’를 가르치듯 한다는 것이다.
브라우디의 ‘경험적 접근’에 대한 견해
- 브라우디의 ‘미적 정사’류의 방법은 언어적이기보다는 오히려 ‘경험적 접근’법이다. 경험적 접근은 작품을 접하는 데에서 일어나는 심미적 만남(경험)을 강조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단계적이고 직선적인 비평형식보다는 미술작품을 접했을 때 각자의 감각에 의한 직관적 심미적 경험들을 중시한다. 즉 미술작품에 대한 ‘읽기’보다는 ‘심미적 경험’들의 중요성과 의미들을 ‘이해’하고 나타내는 것을 중요시하는데, 작품의 원리들을 문학적으로가 아니라 감각적인 것으로 느끼고 보는 것을 우선한다는 것이다.
미술비평 교육의 방법 탐구 미술비평 교육의 방법 탐구
교육적 미술비평의 과정과 그 연구
(1)펠드먼의 미술비평 단계
학과중심 미술교육DBAE에서 미술비평의 방법으로 도입한 것은 펠드먼이 “미술비평의 작업”으로 제안한 네 단계이론이다..
미술교과 교육과 미술비평 미술교과 교육과 미술비평
감상으로서 미술비평의 도입
미술이 학교 교육의 한 교과로 도입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감상의 중요성이 주장되기 시작했다.
미술과의 지도내용으로서 창작과 향수란 ..
미술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미술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미술비평의 개념
< 우리말 큰 사전 >
‘비평’- 사물의 선악, 시비, 미추 등을 분석 논란함.
‘비판’- 비평하여 판정함.
작품 따위를 평가, 검토하여 그릇됨을 밝혀내는 일
사물..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한국미술교육의 과제와 방향
1. 한국미술교육의 과제
1) 미술교과에 대한 편견의 해소
·대부분이 미술교과를 기능교과로 인식
·현재의 기능중심 미술교육에서 잘못된 점으로 지적되는 점
①기능적인면에 대한 협..
미술의 감상에 대한 교육과 미술 비평 교육 감상 교육과 미술 비평 교육
1. 감상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감상의 개념
감상이란 뜻은‘appreciation'로 라틴어 ’appreciatus'에서 온 용어로 ‘appraise' 즉 ①품질, 크기, 무게 등을 평가하다와 ②감정하다, ..
미술감상 교육의 방법탐구 미술감상 교육의 방법탐구
1. 감상지도의 일반적 방법과 그 성격
수용적 감상과 비관적 감상(감상 태도 면에서)
1) 수용적 감상과 비판적 감상
수용적 감상과 비판적 감상은 방법이라 하기보다는 수용자의..
미술감상 비평교육과 수용미학 미술감상, 비평교육과 수용미학
◈ 목 차 ◈
1. 감상교육 방법의 문제성
1) 감상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
2. 수용미학에 의한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의 가능성
1) 텍스트-독자 중시의 수용미학
2) 수용미학..
비평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의 촉진 방법 비평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의 촉진 방법
Ⅰ. 작품에 대한 개인적 반응을 위한 촉진 방법
학교 교사나 미술관 교사는 상황에 따라 흥미 있는 여러 가지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켜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