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과 병고와 고독 속에서 문학을 위해 순교했던 유정은 이제 우리 문단의 신화적 존재가 되었다. 살아서 그토록 불행했던 유정이 죽어서 더욱 사랑받고 기림받는 존재가 된 것1)1) 유정 사후 57년만에 그는 「1994년 3월의 인물―김유정」으로 선정되었다. 필자가 조사한 유정 관련 서지 자료만도 333편(전집류 3종, 김유정 문학연구 단행본 3권, 박사학위논문 6편, 석사학위논문 95편, 평전 2권, 실명소설 3편, 그외 일반논문 및 신문, 잡지 기사들 포함)에 달함이 이를 증명할 것이다. : 이상은 졸고, “김유정 문학연구사”, 강원인물총서―김유정연구논총(한림대학교 아세아문화연구소편, 1994)을 참고하기 바람.
은 어디에 연유한 것일까. 그것은 ‘인류의 역사는 투쟁의 역사가 아니라 사랑의 역사’였음을 역설한 그의 ‘사랑의 사도’로서의 노력과, ‘문학의 순교자’로서 그가 남긴 작품에 ‘순도 높은 예술적 성취를 위한 투혼의 몸부림’이 생생히 각인되어 있는 까닭에서일 것이다.
근대문학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문학사를 조망한 9권의 문학사가 있다.2)2) 조연현의 한국현대문학사에서는 1920년대까지만 다루고 있는 관계로 본고에서는 제외했다. 본고에서 참고한 문학사는 참고문헌목록을 참고하기 바람.
이들에 나타난 유정문학의 특징에 대한(역사의식의 유무를 떠나) 공통된 견해는 유정이 가난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그리되 이를 독특한 소설언어의 문체로 나타내고 해학적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의 지적이 김유정문학의 정체를 알리는 최고 최량의 지적은 아니라 해도 유정문학의 정체에 접근하기 위한 공통인자를 포함하고 있음은 사실인 것이다.
그렇다면 유정문학에 새겨진 예술적 성취를 위한 그의 투혼의 몸부림은 언제 시작해서 어떤 모습으로 새겨진 것일까. 그가 남긴 개인적 신화는 어떤 것들이고 그들은 어떻게 그의 작품 속에 파고 든 것일까.
....
영화감상문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보고 영화감상문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보고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는 세 종류의 법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첫째는 사형수인 윤수, 둘째는 사형수와의 심리적 치료를 위..
김유정의 작품세계 및 문학적 특징 김유정
1. 작품 세계( 일대기 )
김유정 문학의 산실 실레 마을
김유정은 1908년 1월 11일 강원도 춘천부 남내이작면 중리(실레)에서 팔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고향 실레 마을은 김유정 문학의 산실이다...
[설화비평] 구약성서와 문학비평 구약성서와 문학비평
1.성서는 문학인가
성서연구는 1960년대까지 거의 외길을 걸어왔다. 성서연구의 초점은 성서와 역사의 사실대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60년대 이후 성서연구는 새로운 연구방..
魏晋南北朝 시대의 文學批評에 관한 연구
魏晋南北朝 시대의
文學批評에 관한 연구
- 曹丕의 『典論』과 劉勰 의 『文心雕龍』을 중심 으로
▦ ▦ ▦ 차 례 ▦ ▦ ▦
緖言
1. 文學批評이 나오게 된 배경
1) 초기 儒家로부텨
2) 동중서의 타협
3) 농민 투..
[문학작품 분석] 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 - 근대의 연애관을 중심으로 [문학] 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 - 근대의 연애관을 중심으로
▪ 목 차 ▪
Ⅰ. 서론
Ⅱ. With or Without Love
1. 연애의 기원
2. 1920년대 전후의 연애관
3. 정(情)은 Love의 개념일까
Ⅲ. 텍스트에 나타난 연애관
..
소낙비
소낙비
작가
김유정 (1908-1937)
1935년 조선일보에 <소낙비>, 중의일보에 <노다지>가 당선되자 문단에 데뷔. 그 후 약 2년 동안 <금따는 콩밭 >, <만부방>, <산골>, <동백꽃>, <야맹>, <따라지>, <정조> 등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