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은 1908년 1월 11일 본관이 청풍淸風인 아버지 김춘식과 어머니 청송 심씨의 2남6녀 팔남매 중 일곱째로 서울 진골(지금의 종로구 운니동)에서 태어났다.1)1) 이선영·김영기 등 대부분의 사람들이 김유정이 춘천에서 출생했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춘천 의병이 봉기하던 구한말 한일합방을 앞둔 뒤숭숭한 세상에 춘천 실레 부자가 신상에 어떤 위험을 느끼고 서울에 집을 마련해 식솔들을 옮겨갔을 가능성이 높으며, 김유정의 셋째 누나인 유경도 유정의 출생지를 서울 진골로 주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존하는 마을 사람 누구도 김유정이 춘천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지 못하고 있다. - 「김유정 시대를 초월한 문학성」, 전상국 저,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13p 참고
그는 김 육(1580-1658)의 10대손으로 어려서 이웃의 글방에서 천자문, 논어 등을 수학한 것으로 전해진다.2)2) 「김유정의 생애- 김유정전집」, 김영수, 현대문학사, 1968, 393-394p 참고
맨 위로 아들이 하나, 그 밑으로 딸만 내리 다섯이나 낳던 끝에 태어난 아들이라 집안 식구들의 관심은 대단했다. 특히 집안에 여자들이 많아 유정은 그네들의 눈길 손길에서 잠시도 놓여날 때가 없었으며, 고향 마을에 내려올 때마다 김 도사댁 손자니 김 참봉댁 도련님 등으로 떠받들어졌다.
....
김유정의_잃어버린_작품과_왜곡된_기록 김유정의 잃어버린 작품과 왜곡된 기록
벽호에서 간행된 “한국대표명작총서 18” <안회남>을 보았다. 그런데 거기에 수록된 <투계>, <기차>라는 작품은 김유정의 글을 개작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김유정에 ..
유정의 그물- 김유정 문학의 심리비평적 연구 - 裕貞의 그물
- 김유정 문학의 심리비평적 연구 -
유 인 순
(강원대)
Ⅰ. 여는 말
가난과 병고와 고독 속에서 문학을 위해 순교했던 유정은 이제 우리 문단의 신화적 존재가 되었다. 살아서 그토록 불..
김유정의 작품세계 및 문학적 특징 김유정
1. 작품 세계( 일대기 )
김유정 문학의 산실 실레 마을
김유정은 1908년 1월 11일 강원도 춘천부 남내이작면 중리(실레)에서 팔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고향 실레 마을은 김유정 문학의 산실이다...
김유정 소설의 민중적 성격 김유정 소설의 민중적 성격
1.
김유정의 소설은 주로 사상이나 내용의 무게보다 형식적인 면, 즉 기교나 구성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한다고 평가된다. 기교 가운데는 특히 반어와 해학이 돋보이며, 구성은 ..
[문학작품 분석] 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 - 근대의 연애관을 중심으로 [문학] 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 - 근대의 연애관을 중심으로
▪ 목 차 ▪
Ⅰ. 서론
Ⅱ. With or Without Love
1. 연애의 기원
2. 1920년대 전후의 연애관
3. 정(情)은 Love의 개념일까
Ⅲ. 텍스트에 나타난 연애관
..
소낙비
소낙비
작가
김유정 (1908-1937)
1935년 조선일보에 <소낙비>, 중의일보에 <노다지>가 당선되자 문단에 데뷔. 그 후 약 2년 동안 <금따는 콩밭 >, <만부방>, <산골>, <동백꽃>, <야맹>, <따라지>, <정조> 등 주..
서종택외출작품론 서종택/외출 작품론
30년 전 외출을 따라나서며
김남석
1. 작가와 문학의 여행지를 찾아서
서종택의 산문 「작가의 집」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문학기행은 교수나 학생 모두에게 기다려지는 시간이다. 보길도..
공지영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고 공지영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읽고 감상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때론 귀를 닫아야 들리는 얘기도 있고, 내 생각에만 치우..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 1.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
(1) 한국문학의 의미
⇒ 한국군학은 한국인 작자가 한국인 수용자를 상대로 한국어로 창작한 문학 따라서 언어가 단 일언어로 통일되어 있고, 한민족의 언어이고 한국의 국어인 한국어를..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목 차
Ⅰ 문학의 개관
1. 문학 일반의 고찰
(1) 문학의 기원
(2) 문학의 본질
(3) 문학의 특성
(4) 문학의 요건
2. 한국 문학의 흐름
(1) 한국 문학사의 시대 구분
(2) 한국 문학의 전체적 흐름
3.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