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시대구분

1. 한국사 시대구분.hwp
2. 한국사 시대구분.pdf
한국사 시대구분
Ⅰ. 시대 구분론
1. 시대 구분의 의의
인류의 역사는 대단히 하고 긴 시간의 변화 과정이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역사의 발전 과정이나 시대적 특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에 의해 시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즉, 시대 구분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역사 과정을 체제계․법직적으로 파악하려는 방법이다.
시대구분을 하는 방식은 시대 구분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인류의 발전적 과정을 파악하려는 노력은 보편적인 판단 기준을 찾으려 한다. 자유, 평등, 생활 등 인간의 존재 조건과 관련하여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가질 수 있는 제 권리가 어떻게 형성 발전 되었는 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 이유로 시대 구분은 인류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래에 더 나은 삶의 조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방식이다. 현재를 중심으로 과거와 미래를 연결시켜보는 시대 구분 방식은 인류의 보편적인 삶의 기본 원칙을 밝힐 뿐만 아니라 각 시대, 각 지력의 특수성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게 도와준다.

2, 시대 구분론의 전개 과정
우리나라에서 기대 구분 논의는 1930년 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백남운이 식민주의 사학의 정체성 이론을 비판하여 한국사의 고대 노예제 사회, 아시아적 봉건 사회의 역사 발전 단계를 설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그것은 마르크스의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의 합법칙성 이론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후 한국사 발전 단계의 설정에 대한 논란이 있다가 중단되었다.
그 이후 1950년대 북한학계에서 사회주의 사회건설의 역사적 당위성을 역사 발전 과정을 통해 확인하려는 시대 구분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 논쟁은 매우 결렬하였고, 시대구분 논의도 고․중세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현대사의 기점, 사회주의 건설주체, 혁명의 과제와 결부되어 근현대사에 대해서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