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야를 기다렸던 유대교인 유대인(이스라엘 백성) 들은 하나님이 보내주신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지 아니하였고 십자가에 못박았다. 그후 예수의 제자된 사도들은 삼일만에 부활하신 예수의 성경적 성취를 증거한다. 스데반은 돌에 맞아 순교하고 사도바울 등은 3차에 걸친 전도여행을 하게 되어 메시야를 기다렸던 무지한 영혼들에게 구약의 완성과 신약의 시작을 알려 마침내 만인이 인정하게 되어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하나님이 강림하시기만을 기다렸던 유대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빼앗기게 되고(마21:43) 처녀의 몸에 성령의 감동하심으로 예수를 잉태하셨던 마리아를 순결하고도 고귀한 분으로서 받들어 모시는 현대의 카톨릭 곧 천주교가 탄생되기에 이르렀다. 유럽은 이리하여 교황의 말을 하나님의 말씀처럼 받아들였으며, 마침내 여러 나라들이 국교화 시키기에 이른다. 교황은 교회 재정의 확충을 위해 일종의 구원의 표라 할수 있는 면죄부를 발행하여 이것을 돈을 주고 사는 사람은 구원을 받는다고 선언하였으며,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예수님)를 믿고 자신의 목자의 말씀만 따른다면 구원을 얻을 것이라고 대부분은 그렇게 믿었다. 집을 팔아 면죄부를 사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교황이 죽은 영혼을 위해 면죄부를 사면 지옥에서 죄를 면하게 되어 연옥을 거쳐 천국으로 환귀가 가능하다고 하니 죽은 누이를 비롯 친척과 멀게는 사돈네 팔촌까지 면죄부를 사는 열정을 보였던게 중세 유럽의 현실이 아니었던가
이 면죄부로 인해 종교 개혁자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내놓는다. 이로써 카톨릭 교회와 정면으로 맞서게 되었다. 동시대의 인물 칼빈도 이러한 교황의 권위에 도전하였던 것이다.
....
[정신건강론] 한국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와 새로운 역할 한국기독교 사회복지의 역사와 새로운 역할
Ⅰ. 들어가는 말
Ⅱ. 주제에 대한 문제의 제기
Ⅲ. 성경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봉사 자세
Ⅳ. 근대세계교회․한국교회의 사회선교 동향
Ⅴ. 우리나라사회복지의 과제와 교..
박물관 관람기 - 한국 기독교 박물관을 다녀 오고 [한국기독교박물관]
한국기독교박물관은 숭실대학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자 고고학자였던 고(故) 김양선(金良善) 교수의 일생에 걸친 열정과 그 가족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한국기독교 박물관은..
한국교회사_서술의_경향에_관한연구
한국교회사 서술의 경향에 관한 연구
지 도 교 수 :
이 논문을 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6월
목 차
논문요약 --- 3
제 1장 서 론 --- 4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 5
제 2 절 연구 내용과 방법 및 한..
창세기독후감 현재에 대한 바른 이해와 미래를 위한 계획에 대한 바른 지혜를 얻으려고 하면 과거의 역사로 돌아가야 한다. 그런면에서 창세기는 “그때와 그 곳”(Then and There)으로 부터의 간격을 뛰어 넘어 현재의 “오늘과 ..
선교학개론 “선교학 개론” - J. H. 바빙크 -
< 요약 >
이 책은 선교학의 기초가 되는 세 가지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그것은 선교이론을 다루는 신학적인 분야와 선교 역사 분야와 타종교를 문화의 핵심으로 보아서 타종교..
종교개혁_1
제 목 :
과 목 명 :
지도교수 :
학 과 :
학 번 :
이 름 :
제 출 일 :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
- 목 차 -
1. 서 론
2. 본 론
1)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운동
(1) 종교개혁운동 발생배경
(2) 성서지상주..
2004FreePeople청년부여름수련회계획서
Free People 청년부
여름수련회 계획서
일시 : 2004. 7.29 ~ 31
장소 : 충주 하일라돈산 콘도미니엄
주제 : Touch!-Vision of christ
주최 : 예수꿈 예수나라 비전21
산정현교회
Free People 청년부
목 차
Ⅰ..
2025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연세의료원)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처음 실습을 나갔을 때는 낯선 환경에서 긴장과 두려움이 컸지만, 환자분 한분 한 분을 직접 만나 소통하면서 그분들의 입장을 조금씩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목차
1.서론
2. KNCC의 북한선교 노력의 역사
(1) 88 선언까지
(2) 95년 통일 희년까지
(3) 2000년 합의문까지
3. 88 선언문
(1) 줄거리
(2) 의의
4. KNCC의 ..
백낙준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용재 백낙준의 한국교회사연구와 국학
< 목 차 >
1. 서론
2. 본론
1) 용재의 생애
2) 용재의 한국기독교사연구와 국학
3) 용재 연구의 한계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