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까르뜨의 철학을 이해함에 있어 방법서설은 본격적인 철학서로서 그의 학문을 완전히 담아 내고 있다고 하기는 힘들 것이다. 방법서설 자체에서도 밝힌 바 있거니와 그는 본래 이 책을 그의 철학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소개서로서 대하고 있다. 실제로 이 책은 마치 학문의 진리에 이르기 위한 어떤 중대하고도 심오한 길을 제시해 줄 것같은 재목에 비해 본문에서는 뭇 학문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개요와 저자 자신의 평가 그리고 저자의 약력 및 형이상학이 간략히 서술되어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본격적인 철학서라 할 수 있는 성찰, 철학의 원리 등과 같은 저서보다도 이 책이 더 많이 인구에 회자되고 데까르뜨의 철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서로 자리잡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비록 70면의 소책자이지만 이 책의 구절 마디마디에 저자의 철학 사상이 충실히 베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반인들이 합리주의, 이성중심의 철학이라며 단지 피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는 데까르뜨의 철학이 현대에도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이며 그의 삶에서 알 수 있는 진정한 철학인의 자세가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 이 작은 책은 충분한 것들을 보여주고 있다.
....
[독후감] ‘철학이 필요한 시간’을 읽고 ‘철학이 필요한 시간’
을 읽고
나는 이과생이어서 학교에서 윤리나 사회·문화를 깊이 있게 공부해본 적이 없다. 그래서인지 인문학이나 철학 등에도 관심이 없었다. 또한 인문학, 철학이라고 하면 우리의 삶에서..
계몽주의시대의과학 과학과 이성 : 계몽주의 시대의 과학 (Science in the Age of Enlightment)
* 근대 사회의 형성 - 근대성과 과학의 합리성, 객관성, 계몽, 교육.
A. 영국 : Location of scientifc activity.
장소에 따라 과학의 ..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들어가기전에
“윤리”는 고등학교 필수 과목이며, 수능시험에도 나오기 때문에 친숙할 수밖에 없는()
과목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상 부문. 그 중 에서도 서양..
[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해서 [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해서
데카르트 (Descartes, 1596-1650)
불란서의 철학자·수학자. 그의 사상을 보면 그는 먼저 회의 로부터 출발하여 모든 현존의 지식은 불확실한 기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의심되어..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서술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눈다. 그래서 반성(réflextion)으로서 철학에 대한 물음, 철학이 나아갈 방식, 철학이 제기한 물음, 그리고 심리학의 실험과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