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현전의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의 조사, 연구,경연과 서연,편찬 사업,),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

1. 집현전의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hwp
2. 집현전의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pdf
집현전의 설립배경,집현전의 기능(고제의 조사, 연구,경연과 서연,편찬 사업,),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
집현전과 홍문관의 도서관적 기능

목 차

1. 집현전의 설립배경
1) 집현전의 연원
2) 세종의 집현전

2. 집현전의 조직(직제) 및 운영

3. 집현전의 기능
1) 문한(文翰)적 기능
2) 고제의 조사, 연구
3) 경연과 서연
4) 편찬 사업
5) 장경(藏經)적 기능

4. 집현전의 혁파와 홍문관의 설립
1) 집현전의 성향 변화
2) 세조의 집현전혁파
3) 집현전을 이어받은 홍문관의 설립

5. 홍문관의 조직 및 운영

6. 홍문관의 기능
1) 왕에 대한 고문 활동(顧問活動)
(1) 경연(經筵)
(2) 상소(上疏)
(3) 청대(請對) 및 복합(伏閤)
2) 대간과의 관계
3) 문한적(文翰的)기능

7. 영 · 정조대 홍문관 제도의 정비

8. 집현전과 홍문관의 성격과 영향

1. 집현전의 설립배경

1) 집현전의 연원

집현전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집현전의 의미를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집현전의 한자 集 賢殿은 모을 집, 어질 현, 큰집(궁궐) 전이라는 세 개의 한자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이것을 합치면 ‘어 진 사람들을 모으는 큰 집’이라는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제도는 중국에서 연원한 것으로서 한(漢) 나라부터 존재했다. 그러나 제도가 정비된 시기는 당나라 현종 때로서, 학사(學士 -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두고 시강(侍講 : 강의)·장서(藏書 : 책의 보관)·사서(寫書 : 도서의 필사)·수서(修書 : 도서 교정)·지제고(知制誥 : 왕의 교서 등을 지음) 등을 담당하게 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박사(博士), 신라의 1)상문사(詳文師)·통문박사(通文博士)·서서원학사(瑞書院學士) 등처럼 그 명칭과 기능이 집현전제와 비슷한 것이 있었다. 특히 백제에서는 이들을 번갈아 일본에 보내어 선진문화를 가르쳐주게 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