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리포트 > 인문/어학
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한글
2013.12.20
12페이지
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중문학 - 두시 언해(杜詩諺解))
귀안(歸雁)
보 왯 萬里(만리) 옛 나그네1)
亂(난)이 긋거든 어느 예 도라가려뇨
江城(강성)에 그려기
너피 正(정)히 북으로 라가매 애 긋노라2)
春來萬里客 춘래만리객
亂定幾年歸 난정기년귀
腸斷江城雁 장단강성안
高高正北飛 고고정북비
봄에 와 있는 만 리 밖의 나그네는
난이 그치거든 어느 해에 돌아갈까
강성의 기러기가
똑바로 높이 북쪽으로 날아가니 애를 끊는구나.
감상의 길잡이
봄이 되어 기러기는 북쪽으로 날아가는데 난리로 인해 시인은 고향을 두고도 돌아갈 기약이 없다. 기러기에 시인은 봄이라는 계절에서 남모를 향수를 느끼고 이러한 서글픈 정한을 철새인 기러기에 첩첩이 실어 읊고 있다.
이 시의 묘미는 1, 2구에서 보여 준 직서적인 자기 심상의 표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망향의 아픔을 언외(言外)로 투영시킨 3, 4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북으로 날아가는 기러기는 바로 작자의 망향의 시심이 응축된 매개물인 것이다.
핵심 정리
․연대 : 두보가 53세(764년) 때 피난지인 성도에서 지음
․제재 : 기러기
․주제 : 향수
․출전 : [分類杜工部詩諺解] 중간본 권 17
春望(춘망)
나라히 破亡니 뫼콰 잇고3)
잣 안 플와 나모 기펫도다
時節(시절)을 感歎(감탄)호니 고지 믈 리게코
여희여슈믈 슬호니 새 놀래노라4)
烽火(봉화) 석 니어시니
지븻 音書(음서) 萬金(만금)이 도다
센 머 글구니 뎌르니
다 빈혀 이긔디 몯 도다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
感時花濺淚 恨別鳥驚心
烽火連三月 家書抵萬金
白頭搔更短 渾欲不勝簪
나라가 망하니 산과 강물만 있고,
성 안의 봄에는 풀과 나무만 깊어 있구나.
시절을 애상히 여기니 꽃까지 눈물을 흘리게 하고
(처자와) 이별하였음을 슬퍼하니 새조차 마음을 놀라게 한다.
전쟁이 석 달을 이었으니
집의 소식은 만금보다도 값지도다.
....
김치에 대해서
Contents
1. 김치의 역사
▶ 김치의 어원
▶ 김치의 유래
▶ 김치의 변천사
2. 김치의 종류
3. 각 지역별 대표 김치
4. 김치의 기능과 효능
김치의 어원
약 3천년 전의 중국 문헌 시경(詩經) 에 오이를 이용..
[중어중문학] 애청-현대 신시의 전면적인 성숙
[애청-현대 신시의 전면적인 성숙]
애청(艾靑)은 본명이 장정함(蔣正涵), 1910년생으로 절강 출신이다. 그는 본래 화가를 지망하여 항저우예술전문학교(杭州藝術專門學校)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1929년 도불 유학..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
1. 연구 목적
국어사 연구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각 시기의 국어에 대한 공시적 연구이다.
국어는 다른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적 공간적으..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이본들
1. 들어가며
2. 본론
1) 훈민정음 한문본
1.1. 훈민정음 해례본
1.1.1. 훈민정음 해례본의 영인본
1.1.2. 훈민정음 해례본과 관련한 소유권 다툼
1.2. 조선왕조실록본
1.3. 배장예부운..
[사례 분석]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이본들
1. 들어가며
2. 본론
1) 훈민정음 한문본
1.1. 훈민정음 해례본
1.1.1. 훈민정음 해례본의 영인본
1.1.2. 훈민정음 해례본과 관련한 소유권 다툼
1.2. 조선왕조실록본
1.3. 배장예부운..
부당광고의 정의와 유형, 부당광고 판별기준
부당광고의 정의와 유형, 부당광고 판별기준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부당광고
부당광고의 정의와 유형, 부당광고 판별기준
목차
부당광고
I. 부당광고란?
II. 부당광고의 유형
1. 허위광고
2. 과장광..
번역박통사와번역노걸대바로읽기를위한제언
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 바로 읽기를 위한 제언
1. 머리말
번역 박통사와 번역 노걸대1)1) 이하 이들을 번박과 번노로 칭하기로 한다.
는, 중세문헌으로는 유일하게 대화체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학계의 많..
중국 문학사 - 서유기 작품분석
서유기
중국문학사
INDEX
1-1
작가소개
서유기의 작자는 오승은
어려서부터 역사에 관심이 많고 책 읽기와 토론을 즐기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시문에 능함
정치적으로 크게 성공하지 못함
봉건 관리 사회의 부패..
조선시대_검시의_과학성[1]
조선시대 검시의 과학성
우리나라 법의학의 역사
고 려 : 의옥집(疑獄集, 1059) 발간
세원록(洗寃錄), 평원록(平寃錄),
결안정식(結案程式), 지정조격
(至正條格), 무원록(無寃錄) 수입
조 선: 의옥집..
전녀위남법
전녀위남법, 아들을 얻기 위한 오랜 욕망의 역사
목 차
서 론
전녀위남법이란
본 론
전녀위남법의 기원과 갈래, 변이
1. 고대 중국의 풍습
2. 전녀위남법과 전남위녀법
3. 허준의 [[동의 보감]]과 [[언해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