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_검시의_과학성[1]

1. 조선시대_검시의_과학성[1].ppt
2. 조선시대_검시의_과학성[1].pdf
조선시대_검시의_과학성[1]
조선시대 검시의 과학성
우리나라 법의학의 역사
고 려 : 의옥집(疑獄集, 1059) 발간
세원록(洗寃錄), 평원록(平寃錄),
결안정식(結案程式), 지정조격
(至正條格), 무원록(無寃錄) 수입
조 선: 의옥집 발간(1418, 태종 18년)
무원록 중간본 수입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최치운,
이세형, 변효문, 김황, 1438)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 구택규,
1792)
증수무원록대전, 무원언해, 심리록,
검요, 흠흠신서, 시장(屍帳) 발간
조선시대 검시의 특징

현장 임검
삼검제도(初檢, 復檢, 三檢)
검안(檢案)이 주된 검시 방법
검시방법
시체 및 안색 관찰
안색에 따라 사인을 판단
적색계: 구타나 목맨 상흔
청색계: 질식사, 중독사
흑색계: 부패
부패 정도
1단계: 얼굴, 배, 겨드랑이, 가슴부위의
살빛이 푸름
2단계: 코와 귀에서 악즙이 나오고 배가
팽창하고 구더기 생김
3단계: 두발이 탈락함
계절에 따른 부패 정도

계절 1단계 2단계 3단계

봄 2-3일 10일
여름 1-2일 3일 4-5일
가을 2-3일 4-5일 6-7일
겨울 4-5일 15일
한여름 1일 3-4일 3-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