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문 밧 쳥파(靑坡)에 유영(柳泳)이란 선비가 잇다. 그는 빈한하야 맛처 입을 의복도 업고, 흣터진 두발에 무든 얼골로 거리에 왕래함으로 여러 유객(遊客)들에게 비읏슴과 만흔 천대를 바들 이다.
만력 신축(萬曆辛丑) 춘삼월(春三月) 긔망에 유영이 춘흥을 못 이기여 홀로 한 병 술을 들고 처자도 업고 의지 업는 고독한 몸이 표연이 궁문(宮門) 안으로 드러갓다. 보는 자마다 유생에 의복이 남루함을 손구락질야 비웃지 안는 자가 업섯다. 그러나 유생은 그 말에 굴복지 안케다는 긔개(氣槪)를 가젓스나, 그래도 무료한 듯이 얼골을 불킨 채로 후원으로 드러가 놉흔 곳의 올나가서 사면을 바라보니, 새로이 병화지변(兵火之變)을 경과한 오늘날에 장안의 궁궐과 만성의 화려한 가옥이 폐퇴(廢頹)되야 지나간 옛날에 성관(盛觀)을 볼 수 업고, 다만 현실(現實)에 보는 무너진 담과 여진 긔와가 벌려 잇고, 팔안 풀들만 변함이 업시 싹이 나서 잇슬 이오, 모든 관렴(觀念)은 말할 것 업시 압흐기만 할 이다. 그리고 동랑(東廊)의 두어 간이 초연이 잇서 전일을 말하는 것 갓다. 유생은 만고 성쇠의 옛자최를 감회하면서 느린 걸음으로 서원(西園)에 드러가니, 천셕(泉石)이 유슈(幽邃)한 곳에 백훼(百卉)가 총생(叢生)하엿는데, 이 거림자는 맑은 못 속에 러저 잇고, 만디 락화(滿地落花)의 사에 자최가 업스며, 다만 바람이 사르를 불 마다 복욱(馥郁)한 향긔가 사람의 코를 스치고 갈 이다. 유생은 호올로 바위 우에 안저 침착한 어됴로 소동파(蘇東坡)의
我上朝元春半老 내가 상조원 춘에 반나마 늙어스니
滿地落花無人掃 만디락화에 쓰는 사이 업도다
....
운영전 연구-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 운영전 연구-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1.1. 연구목적
1.2. 선행 연구 검토
Ⅱ.인물간의 갈..
운영전(雲英傳) 연구 운영전(雲英傳)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구조적 특징
1.서사적 특징
2. 유형적 특징
1) 몽유(夢遊) 구조
..
염정소설론 艶情小說論
艶情이란 문학의 普遍的인 주제인데, 艶情小說이란 항목을 따로 설정하는 것은 그것이 신성에서 세속으로 이행하는 조선 후기 사회의 동향과 일치하면서 世俗小說 내에서의 뚜렷한 한 흐름을 형성..
[국문학] 호질(虎叱) 작품 분석과 작가 분석 [국문학] 호질(虎叱) 작품 분석과 작가 분석
박지원(朴趾源)
[전략] 정(鄭)나라 어느 고을에 벼슬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학자가 살았으니 북곽 선생(北郭先生)이었다. 그는 나이 40에 손수 교정(校正)해 낸 ..
[국문학]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작품분석 [국문학]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작품분석
김시습(金時習)
[앞부분의 줄거리 요약]
전라도 남원(南原)에 살던 양생(梁生)이란 노총각이 만복사를 찾아가 부처님과 저포놀이를 하여 이긴 후, 소원대로 여자..
국문학 - 염상섭의 ‘삼대(三代)’ 작품 분석[감상 포함] 국문학 - 염상섭의 ‘삼대(三代)’ 작품 분석[감상 포함]
■작품의 줄거리
작품 삼대 는 덕기가 방학이 되어 서울에 왔다가 다시 유학길을 떠나려고 짐을 꾸리는 장면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첫 장면에서 삼대 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