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

1. [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hwp
2. [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pdf
[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
[음악사] 한국의 불교음악에 대하여

[ 목 차 ]
Ⅰ. 서론
- 한국의 불교 전래와 불교음악

Ⅱ. 본론
1. 범패 - (1) 범패의 개념 (2) 한국의 범패 (3) 범패의 종류 (4) 범패의 특성
2. 화청 - (1) 화청의 개념 (2) 화청의 유래 (3) 화청의 종류 (4) 화청의 특성
3. 향가 - (1) 불교음악으로서의 향가 (2) 향가의 종류
4. 조선의 불가 - (1) 조선불가의 성립과 역사 (2) 세종대왕의 불교음악 창작
5. 창작찬불가 - (1) 찬불가의 개념 (2) 찬불가의 창작 배경 (3) 찬불가의 영향과 의의

Ⅲ.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점

Ⅰ. 서론
- 한국의 불교 전래와 불교음악

불교는 삼국시대에 처음 전래 되었다. 삼국 중에서도 고구려가 가장 먼저 불교를 받아들였는데, 고구려 소수림왕 2년인 372년이 그 전래 시기이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서역지방을 거쳐 중국에 전래된 후, 새로운 중국의 불교문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372년 우리나라에 그 음악과 함께 전래되었다. 당시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불교음악은 범패를 위시하여 불교의식에 쓰였던 여러 음악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구체적인 음악의 종류 및 성격에 관해서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고대 불화나 석조물의 도상에 보이는 악기를 비롯하여 불교문헌에 보이는 음악 관련 기록을 통해 범패와 같은 형태의 불교 음악이 인도에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전래된 후 다시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범패와, 불가로서 범패와 함께 예불의식음악에 쓰이지만 그 스타일에서 범패와 성격을 달리하는 순수한 한국범패의 일종인 화청을 비롯하여 여러 불교음악의 관련 분야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Ⅱ. 본론
1. 범패
(1) 범패의 개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