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회] 중국의 민족정책에 관해서

1. [중국사회] 중국의 민족정책에 관해서.hwp
2. [중국사회] 중국의 민족정책에 관해서.pdf
[중국사회] 중국의 민족정책에 관해서
[중국사회] 중국의 민족정책에 관해서

중국 조선족은 19세기 중엽부터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인의 후예이며, 한국사회에서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재중동포’, ‘재외한인’, ‘연변 조선족’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1) 엄격한 봉금령의 위험을 무릅쓰고 농토를 찾아 한반도로부터 떼를 지어 두만강과 압록강을 넘어 이국의 황폐한 땅을 개간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더불어 55개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자리 잡은 지 150년이 흘렀다.2) 조선족은 한중 국제관계나 남북 통일문제, 그리고 대한민국의 국제 경쟁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국민들은 그들의 정체성이나 경제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이제 조선족들의 형성과정과 발전에 대해서 깊이 알아 볼 시점이 되었다. 특히 중국 동북3성에 거주하는 200만 규모의 조선족은 한반도 통일과정 뿐만 아니라 통일이후에 정치,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3) 그러므로 조선족의 과거, 현재에 대한 깊은 관찰을 통해 한반도가 직면한 남북통일 문제에서 그들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중국 조선족의 이주 · 정착사의 시작을 어느 시기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고구려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부터 중국 조선족의 형성은 전쟁을 통한 납치, 강제 이주와 생활의 근거지 마련을 위한 자발적 이주라는 여러 형태를 가지며 지금의 동북 3성을 중심으로 형성하게 된다.4) 조선족의 이주는 시기별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1712년 청·조 양국 간의 국경확정 전후로 함경도 지방에 흉년이 들었을 때, 농사지을 땅을 찾아 대규모 이주민이 발행하였다. 둘째는 1900년 전후 일본의 한국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토지 강탈과 강제 이주 정책 등으로 이주하거나, 항일 독립 투쟁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조국을 떠났다. 마지막으로는 대륙진출과 만주개척 등 일본의 침략정책 수행 과정에 동원되거나 참여하면서 이주민들이 발생한다.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