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과 - 세계적 석조문화유산 석굴암

1. 사학과 - 세계적 석조문화유산 석굴암.hwp
2. 사학과 - 세계적 석조문화유산 석굴암.pdf
사학과 - 세계적 석조문화유산 석굴암
세계적 석조문화유산 석굴암

서론

세계적인 석조문화유산이라고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할만한 석조 문화유산이라고 생각된다. 그랬을 때 누구나가 다 그렇겠지만 처음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석굴암이었다. 석굴암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분류된 만큼 가히 세계적인 석조문화유산이라고 칭하기에 부족함이 없으며 그 아름다움은 더욱 눈이 부신다.
물론 석굴암에는 아쉬운 점도 있다. 먼저 들어간다고 해도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유리 안의 석굴암의 모습밖에 보지 못하여 석굴암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볼 수 없다는 것과 일제의 무분별한 뜯어고치기로 인하여 진정한 모습도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그럼에도 석굴암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만약 석굴암이 본모습을 되찾는다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고 가장 아름다운 석조 문화유산이라고 하는 것에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석굴암이 조성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석굴암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겠다.

본론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보면, 석굴암은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 751년(경덕왕 10)에 대상 김대성이 불국사를 중창할 때, 왕명에 따라 착공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그는 현세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세우는 한편, 전세의 부모를 위해서는 석굴암을 세웠다는 것이다.
이는 불교의 인과응보 설화를 기반으로 한 요소가 엿보이는 전설적인 유래이지만, 대상 김문량의 집에 환생하였다는 김대성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나타나듯이 경덕왕 때에 중시로 있었던 김문량이 실존인물임에 비추어 보았을 때, 그의 아들인 김대정이 신라의 기명 방식에 의해 대성과 동일인물인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김대성은 왕명을 받들어 토함산의 정상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전개하여 불국사와 석굴암이라는 김씨 왕족을 위한 2대 사찰의 건립에 마지막 생애를 다 바쳤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