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상담심리대학원 예술치료교육 및 상담 전공 학업계획서
예술치료 세션에서 내담자의 작품이나 음악적 표현을 기록하고, 정서 변화의 과정을 주제분석을 통해 해석할 것입니다.
연구의 중점은 '예술표현의 과정'에 있습니다.
저는 예술치료의 효과를 단순한 정서 완화가 아닌 '자아 통합의 과정'으로 연구하고자 합니다.
한양대학교는 예술치료 연구에 있어 학제적 접근이 활발한 대학입니다.
궁극적으로 제 연구가 지향하는 목표는 예술치료를 감정 표현의 도구로 한정하지 않고, 인간의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을 이끄는 심리교육의 한 형태로 확장하 는 것입니다.
제게 예술치료는 단순한 상담기법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장하는 교육적 여정입니다.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면서 인간의 인지·정서 구조를 체계적으로 배웠지만, 실제 상담 현장에서는 언어적 접근만으로는 내면의 상처에 도달하기 어려운 순간들이 많았습니다.
제가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는, 이곳이 예술치료를 단순한 기법으로 다루는 데 그치지 않고, 심리학적 이론과 임상경험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교육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양대학교의 예술치료 교육 및 상담 전공은 상담심리학의 기초 위에서 예술적 매체의 심리적 기능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어, 이론과 실무의 균형을 유지하기에 최적의 환경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미술, 음악, 신체 움직임 등 다양한 예술매체가 개인의 정서 조절 능력과 자기인식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구할 계획입니다.
우선 수강할 과목으로는 '상담심리 이론', '예술치료의 기초와 실제', '심리진단 및 평가',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임상 사례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상담심리 이론'에서는 인간중심상담, 인지행동치료, 정신역동적 접근 등 다양한 상담이론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예술치료와의 접점을 찾을 예정입니다.
예술치료의 기초와 실제'과목에서는 미술·음악·무용 등 다양한 매체의 심리적 작용원리를 배우며, 각각의 특성이 어떤 심리 적 상태에 효과적인지를 비교 분석하고 싶습니다.
예술치료 세션에서 내담자의 작품이나 음악적 표현을 기록하고, 정서 변화의 과정을 주제분석을 통해 해석할 것입니다.
연구의 중점은 '예술표현의 과정'에 있습니다.
제가 대학원에서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싶은 연구주제는 '예술적 표현을 통한 정서조절과자아 통합 과정'입니다.
특히 미술과 음악을 매개로 한 예술치료가 불안, 우울, 트라우마 등 심리적 불균형 상태를 완화하는 과정에서 어떤 인지적·정서적 변화를 유도하는 지 세밀히 분석하고자 합니다.
질적 연구에서는 내담자의 작품이나 음악적 표현을 심층 면담과 내용 분석을 통해 해석하고, 양적측정에서는 정서상태의 변화를 심리척도 및 생리적 반응(심박수, 근전도 등)으로 분석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제 연구가 지향하는 목표는 예술치료를 감정 표현의 도구로 한정하지 않고, 인간의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을 이끄는 심리교육의 한 형태로 확장하 는 것입니다.
제게 예술치료는 단순한 상담기법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을 이해하고 성장하는 교육적 여정입니다.
저는 대학원에서의 연구를 토대로 학문적 근거를 갖춘 예술치료 모델을 구축하고, 상담심리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시키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