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아동권리협약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이라는 네 가지 기본권리를 통해 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보장한다.
보호권은 아동이 각종 위험과 착취,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이다.
생존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보호와 발달, 참여가 불가능하며, 보호권이 지켜지지 않으면 아동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스웨덴은 아동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존중하며, 교육과 복지제도를 통해 아동의 생존권과 발달권을 적극 보장한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모든 아동이동등하게 보장받아야 할 4대 기본권을 제시하였다.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아동이 단순히 보호받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 권리이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이라는 네 가지 기본권리를 통해 아동의 전인적 성장을 보장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기본권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과 해외의 사례를 통해 그 적용 현황을 분석하며, 앞으로의 과제와 개선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의 권리를 단순히 '보호의 대상'에서 '권리의 주체'로 승격시켰다는 점에서의의가 크다.
협약은 총 54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의 생존과 발달, 보호와 참여에 관한 권리를 종합적으로 보장한다.
예를 들어, 기아나 질병으로 생존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아동은 교육을 받을 수도, 사회에 참여할 수도 없다.
보호권은 아동이 각종 위험과 착취, 학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이다.
한국에서는 학생자치활동 확대, 청소년의 회제도, 아동참여위원회 등이 아동의 참여권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운영되고 있다.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독립된 권리이면서 동시에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생존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보호와 발달, 참여가 불가능하며, 보호권이 지켜지지 않으면 아동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없다.
참여권과 관련해서는 학생회 제도와 아동참여위원회가 마련되어 있으나, 정책결정 과정에서 아동의 목소리가 실제로 반영되는 정도는 아직 부족하다.
예를 들어 스웨덴은 아동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존중하며, 교육과 복지제도를 통해 아동의 생존권과 발달권을 적극 보장한다.
특히 아동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참여권 제도는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한국은 기본적 제도는 마련되었지만, 아동의 목소리를 존중하는 문화와 참여권 실현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