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보고서에서는 실생활 자료 중 '서울지하철 2호선 노선도'를 선정하여, 초중급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수업을 설계한다.
지하철 노선도는 한국생활에 필수적인 대중교통 안내자료로, 학습자들이 실제로 자주 접하게 되며, 언어와 비언어 정보가 함께 제시되어 있어 읽기 수업 자료로 적합하다.
이 수업의 학습목표는 학습자가 지하철 노선도의 구조와 정보표시 방식을 이해하고, 특정한 목적(예: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찾기)에 맞게 자료를 읽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각자 자주 가는 경로를 간단히 설명하게 하여 자료 읽기 동기를 높인다.
읽기 중 단계의 목표는 학습자가 실제 자료를 보고 정보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실생활 자료 중 '서울지하철 2호선 노선도'를 선정하여, 초중급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수업을 설계한다.
지하철 노선도는 한국생활에 필수적인 대중교통 안내자료로, 학습자들이 실제로 자주 접하게 되며, 언어와 비언어 정보가 함께 제시되어 있어 읽기 수업 자료로 적합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학습 대상과 수준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자료 선정 이유를 제시한 뒤, 읽기 전·중·후 단계별 구체적 수업방안을 제시한다.
노선도는 글자정보(역이름, 노선번호, 환승정보)와 시각적 정보(색상, 기호, 선의 연결구조)가 결합되어 있어, 초중급 학습자에게 어휘학습과 시각 자료 해석 능력을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지하철 사진과 노선도 이미지를 보여주며, '지하철', '역', '환승', '방향', '출구' 등 핵심 어휘를 칠판에 제시한다.
교사가 출발역과 도착역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노선도를 보고 경로를 찾는다.
학습자는 역개수, 소요시간, 환승 여부 등을 말로 설명한다.
출발역과 도착역을 설정하되 반드시 환승이 필요한 경로를 주어 학습자가 환승역, 환승노선, 방향을 확인하도록 한다.
한 명이 출발역과 목적지를 말하면, 다른 한 명이 노선도를 보고 경로를 설명한다.
읽기 후 단계의 목표는 읽은 자료를 바탕으로 말하기와 쓰기 활동을 통해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발표 활동
숙제로 집에서 다른 노선도의 경로를 찾아보고 다음 수업시간에 발표하게 한다.
교과교육론시험대체과제 [읽기 교육에서 동기와 이에 관한 교수 학습 지도안]
1. 읽기와 동기 유발
그 동안의 읽기 교육 연구는 어쩌면 가장 단순한 질문의 해답을 얻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어떻게 하면 학습자의 ..
[학습 지도안] 2)수학-7. 시간 알아보기 - 시각 알아보기(세안) 2)수학-7. 시간 알아보기 - 시각 알아보기(세안)
( 수학 )과 교수-학습 과정안
7. 시간 알아보기
- 시각 알아보기 -
일 시
장 소
대 상
2 학년
지도 교생
지도 교사
결재
지도교사
협력교사
실습부장
교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