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제에서 요구하는 5개 영역별 발달평가 기준에 맞춰 엄격하게 구성되었습니다. 각 영역별로 영아들의 발달 수준과 특성을 어떻게 관찰하고 기록하며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와 전문적인 서술 방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선생님 반 영아들의 실제 모습과 발달 특성에 맞춰 내용을 참고하고 수정하며 새로운 평가를 생성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신체운동,건강
OO는 조용하고 순한 성향을 지니고 있어, 또래에 비해 신체 활동에서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실내에서는 블록 쌓기나 퍼즐 맞추기 등 소근육을 활용하는 정적인 놀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걷기나 뛰기 등 대근육 활동은 교사의 격려가 있을 때 비로소 시도하며, 새로운 신체 활동에 대한 도전을 주저하는 특징이 있다. 미끄럼틀을 탈 때도 교사의 도움 없이는 쉽게 오르지 못하고, 그네를 탈 때도 스스로 발을 구르기보다는 가만히 앉아있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균형 감각은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어, 낮은 장애물을 조심스럽게 건너거나 외줄 위를 천천히 걸어보는 활동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일상생활에서는 스스로 양말을 벗거나 신발을 신으려 시도하는 등 기본적인 자기 조절 능력을 보이며, 손 씻기나 배변 활동 시에도 교사의 도움에 잘 따라주는 순종적인 모습을 보인다. 다만, 혼자서는 옷을 입거나 벗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격려와 지도가 필요하다.
의사소통
OO는 조용하고 낯가림이 있는 성향 때문에 의사소통에 있어 다소 수줍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래 친구나 새로운 교사에게는 쉽게 말을 걸지 못하고, 자신의 요구사항을 표현할 때도 몸짓이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비언어적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교사나 익숙한 친구에게는 "네", "아니오"와 같은 짧은 대답이나 "엄마", "아빠" 등 친숙한 단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간단한 그림책을 읽어줄 때 그림을 보며 고개를 끄덕이거나 미소를 짓는 등 비언어적인 반응을 보이며 경청하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의 질문에 대해서는 곧바로 대답하기보다는 잠시 생각한 후 작게 속삭이듯 대답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사물이나 동물에 대해서는 "야옹", "멍멍"과 같은 의성어를 따라 하며 관심을 표현하기도 한다. 아직은 두 단어 이상의 문장을 사용하는 빈도가 적고, 새로운 어휘를 시도하는 것에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