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은 아래 3개입니다.
<1> 염증으로 인한 폐포기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치료 및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책, 논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접근을 통해 작성하였습니다
간호계획 및 이론적근거는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17개 간호계획, 17개 이론적근거, 17개의 간호수행, 간호평가까지 작성하였습니다.
<1> 염증으로 인한 폐포기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치료 및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계획 5개
-> 이론적근거 5개
2) 치료적 계획 9개
-> 이론적근거 9개
3) 교육적 계획 3개
-> 이론적근거 3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숨쉬기가 힘들고 가슴이 답답해요."
(2) "기침이 계속 나와서 잠을 잘 못 자요."
(3) "체온이 오르내려서 많이 피곤해요."
(4) "숨을 쉴 때마다 가슴이 아픈 느낌이 들어요."
(5) "기침할 때 가래가 많이 나오고 있어요."
(6) "몸이 무겁고 약한 느낌이 들어서 일어나는 게 힘들어요.“
중략
5. 간호수행
(1)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환자의 산소포화도를 매 4시간마다 측정한 결과, 9/10 오전 6시 산소포화도가 91%로 떨어졌으며 즉시 2L/min의 산소를 투여하였다. 산소포화도는 30분 후 94%로 상승하여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후 9/10 오전 10시에도 산소포화도는 93%로 안정적이었으며, 오후 2시까지 산소 투여를 계속했다.
- 김지영, 김미영. 폐렴 환자의 호흡 상태에 대한 간호 중재 연구. 한국호흡기학회지.
- 박소영, 이경화. 폐렴 환자의 호흡기 증상 및 치료 과정에 대한 간호 중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 장민지, 최윤정. 폐렴 환자에서 산소 치료와 호흡 운동의 효과. 호흡기 간호학회지.
- 이선영, 김효진. 폐렴 환자의 체온 관리와 해열제 사용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학회지.
- 오정미, 김선희. 폐렴 환자의 가스교환 장애와 관련된 간호중재 방법. 임상간호연구지.
- 김지영, 박미혜. "폐렴 환자의 고체온 관리에 대한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53(2): 118-126.
- 이지혜, 김수정. "폐렴 환자의 기침 유도 및 객담 배출을 위한 흉부 물리치료의 효과." 한국호흡기간호학회지, 16(1): 45-52.
- 최은경, 김은정. "수분 섭취가 폐렴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학회지, 20(4): 63-70.
- 박소현, 정미숙. "고체온 환자에 대한 해열제 투여 및 체온 관리 간호 중재." 대한간호학회지, 51(3): 102-109.
- 김지현, 이혜경. "폐렴 환자에게 있어 가족 교육의 중요성과 간호 중재." 대한가족간호학회지, 11(2): 89-95.
- 김수정, 박혜진, 이지영. 폐렴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 최민정, 정은영, 김영희. 폐렴 환자의 간호 관리와 예후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학회지.
- 윤정희, 김유경, 정지은. 폐렴 환자에서 기침 완화 및 가래 배출 촉진을 위한 간호중재. 임상간호연구.
- 김영희, 이은정. 폐렴 환자의 호흡기 관리와 관련된 간호중재에 대한 연구. 간호과학회지.
- 장수영, 정미영. 폐렴 환자의 영양 관리와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