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장애아동 가정과 학교(부모-교사) 간의사소통
교사와 부모와의 상호의사소통은 효율적인 부모-교사 협력 관계의 핵심적 요소이다.
부모와의사소통할 때 교사나 전문가는 언어적으로든 비언어적으로든 부모가 표현하는 것을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말하는 모든 것을 교사가 동의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가 항상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다른 사람에게 협력적인 것은 아니다.
부모와 전화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할 때 교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부모와 대화할 때 자녀의 좋은 행동이나 개선된 점을 말해주고 보여줌으로써 부모의 참여를 격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과의사소통할 때 교사가 고려해야 할 점
교사는 가정-학교 간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하여 가족과의 자주의사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가정과 학교 간의 대표적 의사소통 방법으로서신, 전화, 그리고 직접 대면하기를 들 수 있다.
부모와 교사 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체계적인 양식을 갖춘다면서신을 통한 방법은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가정-학교 간의사소통 방법이 될 수 있다.
서신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으로 간단한 편지나 메모, 노트알림장이나 웹사이트, 소식지 등을 들 수 있다.가정과 학교 간에 오고가는 서신을 통해 매일매일 간단하게 그날 학교나 가정에서의 아동의 하루에 대한 전체 평가나 사전에 부모와 합의된 아동의 특별한 행동, 학급의 행사나 소식 등을 서신을 통해서 주고받을 수 있다.
전화통화는 학교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Gartland, 1993) 교사는 부모와 정기적으로 전화통화를 하여 가정과 학교 간의 의사소통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아동들의 부모들은 학교에 가는 것을 꺼려하는데, 이러한 부모들에게 전화 접촉은 유익한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전화로 아동의 긍정적인 성취에 대해 대화를 나눔으로써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성공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고 서로의 수고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
Stephens와 Wolf(1989)는 부모-교사회의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교사가 학생에 대해 진정으로 관심을 갖고 있다는 믿음을 주고 서로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단계로 회의의 처음 약 1, 2분 동안 아동과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로 시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회의에서 교사는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부모들에게 제공하며 학교생활의 예와 수행자료를 나눠주어야 한다.
인간 행동과 사회환경-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2013/학지사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특수교육] 가정-학교(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발달의 단계(과정) 특수교육]가정-학교(부모-교사) 간 협력관계 발달의 단계(과정)
가정-학교 간의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사는 가족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가족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사가 가..
특수교육 (장애아동의 부모교육) 3.부모교육의 목표
부모교육의 목표는 다섯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1) 가정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
(2) 조기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이차적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형태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의 개념과 중요성
부모-자녀 간의사소통 형태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의 장애요인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의 중요성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은 자녀의 정서 발달과 인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영유아 교사론 의사소통에 대해서 방통대 졸업한 전공자로 현직에서 일하면서 만든 레포트 입니다.
다른 자료들을 짜집기 하지 않고 일일이 직접 손수 자료를 찾아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꼼꼼하게 잘 작성한 것이니 믿고 구매하셔도 되실겁니다!..
장애아동부모 상담 장애아동부모 상담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장애아동부모 상담
CONTENTS
장애아동부모 상담
I. 부모가 알기를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II. 교사들이 알아야 할 사항
III. 의사소통의 다양한 통로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