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장애아동 가정과 학교(부모-교사) 간 의사소통

1. [특수교육] 장애아동 가정과 학교(부모.hwp
2. [특수교육] 장애아동 가정과 학교(부모.pdf
특수교육] 장애아동 가정과 학교(부모-교사) 간의사소통
교사와 부모와의 상호의사소통은 효율적인 부모-교사 협력 관계의 핵심적 요소이다.
부모와의사소통할 때 교사나 전문가는 언어적으로든 비언어적으로든 부모가 표현하는 것을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말하는 모든 것을 교사가 동의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가 항상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다른 사람에게 협력적인 것은 아니다.
부모와 전화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할 때 교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부모와 대화할 때 자녀의 좋은 행동이나 개선된 점을 말해주고 보여줌으로써 부모의 참여를 격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과의사소통할 때 교사가 고려해야 할 점
교사는 가정-학교 간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하여 가족과의 자주의사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가정과 학교 간의 대표적 의사소통 방법으로서신, 전화, 그리고 직접 대면하기를 들 수 있다.
부모와 교사 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체계적인 양식을 갖춘다면서신을 통한 방법은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가정-학교 간의사소통 방법이 될 수 있다.
서신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으로 간단한 편지나 메모, 노트알림장이나 웹사이트, 소식지 등을 들 수 있다.가정과 학교 간에 오고가는 서신을 통해 매일매일 간단하게 그날 학교나 가정에서의 아동의 하루에 대한 전체 평가나 사전에 부모와 합의된 아동의 특별한 행동, 학급의 행사나 소식 등을 서신을 통해서 주고받을 수 있다.
전화통화는 학교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Gartland, 1993) 교사는 부모와 정기적으로 전화통화를 하여 가정과 학교 간의 의사소통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아동들의 부모들은 학교에 가는 것을 꺼려하는데, 이러한 부모들에게 전화 접촉은 유익한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전화로 아동의 긍정적인 성취에 대해 대화를 나눔으로써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성공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고 서로의 수고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
Stephens와 Wolf(1989)는 부모-교사회의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교사가 학생에 대해 진정으로 관심을 갖고 있다는 믿음을 주고 서로 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단계로 회의의 처음 약 1, 2분 동안 아동과 가족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로 시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회의에서 교사는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부모들에게 제공하며 학교생활의 예와 수행자료를 나눠주어야 한다.
인간 행동과 사회환경-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2013/학지사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부모, 교사, 의사소통, 회의, 아동, 학교, 가정, 행동, 방법, 서신, 가족, 어떻다, 전문가, 이야기, 위해, 들다, 대한, 유지, 간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