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가정-학교(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발달의 단계(과정)

1. [특수교육] 가정-학교(부모-교사) 간 .hwp
2. [특수교육] 가정-학교(부모-교사) 간 .pdf
특수교육]가정-학교(부모-교사) 간 협력관계 발달의 단계(과정)
가정-학교 간의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촉진하기 위해 교사는 가족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가족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사가 가족 구성원에게 회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고 준비시키면 가족의 참여도를 높이며 가정-학교 협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교사가 가족 구성원과 체계적이고 평등한 협력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해 다음의 5단계 과정을 이행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부모나 가족(예, 매우 방어적인 부모, 아침을 먹이지 않고 아동을 학교에 보내는 가족, 아동에 대한 검사를 허용하지 않는 부모, 매일 전화하는 가족 구성원, 과음하거나 약물 남용하는 가족, 이혼한 가족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가족과 협력할 때 직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예, 가족이 교사의 가정방문을 요청할 때, 회의석상에서 가족이 저항할 때 등)에서 자신이 어떤 태도나 행동을 취할 수 있을 것인지 정토해 보아야 한다.
더불어, 교사는 부모 ' 참여의 중요성, 부모와 협력할 때 염려되는 점, 가족과의사소통하는 방법 등 가족과 협력과정에 대한 자신의 인식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형식적 회의나 슈퍼마켓과 같이 비형식적 자리에서 가족과 소통하려는 교사의 시도는 아동의 특수한 교육적 필요에 대응하는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부모와 일하려는 교사의 의지와 노력을 반영한다.
가정-학교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학교는 가족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일련의 학교활동에 참여하도록 초대하고 지원하며, 학교정책과 절차에 대해 부모에게 알려주고 모든 가능한 의사소통 수단을 통해 부모와의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부모는 학교가 필요로 하는 아동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가정 내에서 아동의 필요나 가정의 교육과정 등에 대해 교사와 대화할 수 있다.
교사가 가족 구성원에게 회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하고 준비시키면 가족의 참여도를 높이며 가정-학교 협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가족, 교사, 협력, 학교, 부모, 아동, 개별, 교육, 회의, 대한, 가정, 강점, 구성원, 관계, 형성, 필요, 인식, 학생, 상호작용,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