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록을 읽으면서 새로운 사실들을 알았고 많은 것을 느꼈다. 그 중에서 인상 깊었던 부분을 내 느낌과 함께 적어본다.
이 책의 앞부분에서 강기동 박사님의 어릴 적 시절들이 소개된다. 해방 이후 그는 양키물건을 파는 아줌마들 사이에서 전기 축음기에 크게 감명을 받는다. 개인이나 기술의 진보는 자신도 예상하지 못했던 주변 환경의 변화에서 온다. 그 속에서 열정과 호기심을 가진 사람은 자신에 맞는 기회를 포착하고 그에 맞는 길을 걷게 된다. 지금껏 살아오면서 감명을 받은 일들이 한 두 번이 아닐 뿐만 아니라, 지금도 하루하루 수많은 사건이 나를 스쳐지나간다. 그 안에서 나는 어느새 무감각해져 있었다. 하루하루 해야 할 일들을 하다보면 기계인 것 마냥 정해진 틀에 움직이다가 내가 해놓은 일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잊는 경우가 있다. 한 번씩 돌아보며, 내가 한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나에게 감명을 주는 것들에 대해서 한 번씩 더 짚고 넘어갈 필요성을 느낀다.
서울대학교에 입학한 후, 공과대학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통신에 대한 지식이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자 엄청 실망하면서, 자신의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려고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항상 환경이 부합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환경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라도 그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삶에 무기력해질 수 있다. 열정을 가진 사람은 환경을 탓하기 전에 의지를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간다.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로 똑같이 살아가는 사람은 그들보다 앞서 나갈 수 없다. 남이 걷지 않은 길을 걷는다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됐다.
....
물리전자-우리나라의 반도체 현실 1. 한국 반도체의 역사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최초 시작은 1965년 ~ 1970년대에 외국의 자본에 의한 조립 생산단계로부터 시작하여 1983년 ~ 1990년대 국내 기업들에 의한 조립 및 개별소자 생산단계로 발전하..
[서평]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이 책은 50년대 초부터 70년대 말까지 중앙 은행과 정부에서 일하며 당시 우리 나라의 경제 정책에 큰 영향력을 끼쳤던 김정렴씨의 회고록이다. 김정렴씨는 조선은행, 한국은행을 거쳐 59년 재무부 이재국장을 ..
[독후감] ‘땅끝의 아이들’을 보고 크리스찬 사이에서 많이 회자되던 그 책 ‘땅끝의 아이들’
너무나 유명한 이어령 박사님의 딸 이민아씨의 저서인데 딱히 종교를 갖고 있지도 않고 독서에도 크게 관심이 없던 나에게 이런 간증집은 접해본 적 없..
이광수의소설사상 이광수의 소설 사상
1.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에 대한 논의는 이광수의 사상연구라든가 작품해설, 그리고 비평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량의 글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이광수가 친일파였다는 선입견에 의..
성산 장기려를 읽고나서 성산 장기려를 읽고나서
성산 장기려. 책장 첫 페이지 하단에는 이런 글이 있다.
장기려 박사는 우리나라 외과학회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을 남긴 외과 전문의였지만, 1995년 서울 백병원에서 86세로 ..
글쓰기 창업지원 협동조합 설립 제안서 <사회적 기대 효과>
1) 노인
• 자존감의 증대
• 지나온 삶에 대한 위로
• 자기치유
2) 여성
• 자기계발, 자존감 회복
• 삶의 활력 회복-가정화목
• 사회적 역할 증대
3) 청소년 및 어린이(대안학교 ..
이육사의 시 세계 이육사의 시 세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본론
1. 생애
2. 작품세계
2.1. 현실의식과 자아인식
2.2. 실..
[독후 감상문] 데보라 노빌의 RESPECT - 존중받으면 마음이 열린다 respect
데보라 노빌
“어느 마을에 다리를 저는 사람이 있었다. 철이 없던 그의 아내는 남편을 놀리느라 절뚝이 라고 불렀다. 그러자 마을 사람들이 모두 그녀를 절뚝이 부인 이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부부는 짐..
이육사 시 연구 이육사 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본론
Ⅱ.1. 주제
Ⅱ.1.1. 현실의식과 자아인식
Ⅱ.1.2. 실향의식과 방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