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점자 쓰기와 읽기
따라서 점자를 쓸 때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써야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는 유일한 글자가 점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자의 경우에는 필요할 때에는 언제든지 다시 읽을 수 있고, 책의 내용을 생각하면서 읽을 수 있다.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시각장애아 교육] 점자지도-점자의 특징과 원리, 점자의 장단점
II.점자 쓰기와 읽기
쓸 때와 읽을 때의 방향이 반대라는 것이다.
표> 모음(읽기형)
이 6개의 점이 가지는 상태를 조합하면 64(2의 6승=64) 개의 점형을 만들 수 있는데, 그 점형에 의미가 부여된 문자가 바로 '점자'이다.
그러나 점자는 점자를 쓸 수 있는 간단한 도구만 있다면 얼마든지 시각장애인 스스로 점자로 글을 쓸 수 있다.
들을 수 있는 맹인은 점자를 모르더라도 음성 언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만, 시각과 청각 이 동시에 손상을 입은 맹-농인에게는 점자가 거의 유일하고 확실한 의사소통 수단이 된다.
문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음성 언어를 통해 듣는 말의 철자법을 익히기가 매우 어려우나, 점자를 문자로 사용하게 되면 철자를 익히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묵자의 경우는 양은 종이에 인쇄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나, 점자의 경우는 점자가 쉽게 지워지지 않게 하긴 위해서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므로 부피를 줄이기가 매우 어렵다.
약자를 사용함으로써 철자법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2013/학지사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장애인 평생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장애인 평생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장애인의 평생교육은 단지 복지의 영역이 아니라, 헌법이..
장애아동 복지서비스의 현황과 장애아동 서비스의 개선방향 직접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잘되어서 뿌듯하고 학점도 잘 받았습니다.
1. 장애아동 복지서비스의 현황
1) 소득보장 서비스
2) 의료 서비스
3) 상담사업
4) 교육 서비스
(1) 시각장애아동 교육
(2) 청각자애아동 ..
[시각장애아 교육] 시각장애아동 교수학습 방법 시각장애아 교육] 시각장애 아동 교수학습방법
시각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교과지도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이루어지는데, 교육내용에 관한 문제보다는 교수 자료와 교육방법 등에 있어 시각장애의 특..
특수교육학 - 시각장애에 대해서 시각장애
1. 시각장애의 정의
시각은 시력과 시야에 의해서 결정됨.
▶법적 정의(미국)
실명 또는 맹
저시력
▶법적 실명
시력 교정 후 잘 보이는 눈의 시력이 20/200 이하이거나 시야가 20도 이하인 경우
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