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폐범주성장애의 정의 및 유형
2, 자폐아의 특징과 증상(연구자)
1) Kanner
2) Simmons
3) Wing
4) Rutter
3, 자폐증의 발생 시기
4, 자폐증의 원인
5, 평가(진단)
6, 자폐증의 치료와 교육
◎ 자폐범주성아동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 요소
결론
참고문헌
서론
최근에는 특수아동 외에도 장애위험을 지닌 아동에 대해서도 특수교육의 대상자로서 그 적격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장애위험 아동(at-risk children)은 현재는 장애를 가진 것으로 진단되지 않지만 앞으로 학교에서의 성취를 제한받거나 장애가 나타나게 될 조건을 지니고 있는 아동을 의미한다(Spodek & Saracho, 1994).
특히 나이가 어린 영유아의 경우에는 열악한 환경적인 조건에 노출되거나 생물학적 또는 형성된 위험 조건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 발달상의 문제를 보이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미국의 조기교육 지원 체계는 주에 따라서 이러한 아동을 장애위험 아동으로 분류하여 실제로 특수교육대상자로 그 적격성을 인정하고 제도적인 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Shackelford, 2006).
우리나라에서도 장애위험 아동의 특수교육 적격성을 인정함으로써 특수교육의 예방적 관점에서의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이미선, 조광순, 2002; 이소현, 2000, 2004). 학령기 아동의 경우에는 일반학급에서 학습이나 사회성 또는 성장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아동, 학업 성취에 실패한 아동, 전반적인 학교생활을 잘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자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받는 아동이 장애위험 아동으로 분류되며(Heward, 2009; Mastropieri & Scruggs, 2009):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이들이 특수교육대상자인가 하는 사실보다는 학교생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