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sensation)
감각과정과 지각과정은 세상에 대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과정은 생존과 관능성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감각과정과 지각과정은 우리에게 위험신호를 보내고, 위험한 장면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한편 즐거움을 주는 쪽으로 우리를 유도함으로써 우리의 생존을 돕는다. 관능성(sensuality)이란 감각기관에 의해 느껴지는 성질, 혹은 감각적 쾌캄에 빠져드는 성질을 일컫는다. 관능성 덕분에 우리는 다양한 시각, 청각, 미각, 후각 경험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적 수준에서
감각(sensation)이란 자극과 관련된 기본적인 경험, 가공되지 않은 경험이다.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
지각(perception)은 이러한 순박한 감각경험을 통합하고 의미 있게 해석한다. 정보를 의미있게 조직화하는 과정.
생물학적 수준에서
감각(sensation)이란 감각 수용기를 자극하는 환경변화를 신경부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이 신경부호는 신체 내부와 외부의 경험을 표상한다.
1. 감각 양상의 특징
1) 역치 민감도(threshold sensitivity)
* 절대역치(절대식역): 어떤 감각 양상의 민감도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역치, 즉 자극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데(감각경험을 야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 강도인 절대역치(absolute threshold)를 측정하는 것이다.
* 정신물리학(psychophysics): 정신물리학이라는 용어는 Gustav Fechner(1801~1887)이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물리적 자극과 그 자극이 유발하는 행동 또는 정신적 경험과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학문분야이다.
절대역치는 정신물리적 절차(psychophysical procedure)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정신물리적 절차는 물리적 단위로 측정된 물리적 자극의 크기(강도)와 심리적 단위로 측정된 감각경험(심리적 반응)의 관계를 측정하는 실험 방법이다.
심리학의 연구 분야 심리학의 연구 분야
인간을 연구하는 과학인 심리학은 최초에는 인간 자신에 관한 심리 현상과 행동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었다. 이러한 인간의 심리 현상 자체를 연구하는 심리학이 그 연구 결과가 인간의 실제 ..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의 역사 전반에 대하여
1. 들어가며
심리학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이 어디서 왔으며,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곧 심리학의 역사를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
2025 인천도시공사 사무7급(회계) 자기소개서 자소서 및 면접질문 저는 회계 전공자로서 숫자에 대한 감각과 공공기관 회계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천도시공사의 투명한 재무 운영과 책임경영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향후 저는 공사의 회계시스템..
일반직(기술7급)_전기 자기소개서 자소서 및 2025면접 포항시 시설관리공단에 가장 부합된다고 판단되는 인재상을 기술하시오.
포항시 시설관리공단 전기직을 지원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입사 후 포항시 시설관리공단의 기술직으로서 이루고 싶은 목표는 무엇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