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 교강사강의평가위원회운영‧관리규정
서식 > 행정민원서식
학점은행제 교강사강의평가위원회운..
한글
2016.01.22
4페이지
학점은행제교육과정을 수업하는 원격평생교육원에서 행하는 교강사강의평가위원회운영‧관리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 소속 교직원이 교강사에 대하여 행하는 교강사강의평가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구성 및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결정한다.
1. 수강생의 교강사 강의평가에 대한 공정성 판단
2. 수강생 강의평가 우수자 질적수준 재검증
3. 수강생 강의평가 우수자 인센티브 부여 및 시상범위 확장
4. 강의평가 우수교강사 재임용 심의‧의결
5. 강의평가 우수교강사 전임교원 임용 심사
6. 수강생강의평가지침 제‧개정
7. 수강생 교강사 강의평가 결과 처리
8. 기타 교강사 강의평가와 관련된 일반사항 심의‧의결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 문제은행관리위원회운영‧관리규정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에서 제정 , 시행하는 문제은행관리위원회운영‧관리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이하“교육원”)에서 운영하는 문제은행관리위원회(이하“위원회”) ..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 교강사 인사 및 수업운영 규정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을 수업하는 원격평생교육원에서 행하는 교강사 인사 및 수업운영 규정입니다
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한다) 소속 교강사의 자격‧임용‧보수‧수업‧강의평..
원격평생교육원 수강학생 교강사 강의평가규정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에서 행하는 수강학생 교강사 강의평가규정
1조(목적) 이 규정은 수강학생이 교강사에 대하여 행하는 교강사 강의평가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원격평생교육원 콘텐츠심의위원회 운영‧관리규정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콘텐츠심의위원회운영‧관리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 콘텐츠심의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구성 및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 질관리위원회의조직·운영및질관리계획등의 문서화에관한규정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에서 행하는 질관리위원회의조직·운영및질관리계획등의 문서화에관한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 질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조직·운영 및 질관..
학점은행제교육과정 시험문제관리규정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에서 행하는 중간‧기말고사 시험문제의 개발‧보유‧출제 및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
학점은행제교육과정 시험문제관리규정
학점은행제 원격교육원에서 행하는 시험문제관리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한다.)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에서 행하는 중간‧기말고사(이하 “정기고사”라 한다.) 시험..
원격평생교육원 직원복무규정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원격평생교육원의 직원복무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한다) 소속 직원의 복무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
원격평생교육원 조교인사 규정
학점은행제 과정을 운영하는 원격평생교육원 조교인사 규정입니다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다향선원격평생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한다.) 소속 조교의 인사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학점은행제 원격기반 학습단위과목 평가인정 신청서 제출 (공문-시행문)
학점은행제 원격기반 학습단위과목 평가인정 신청서 제출공문입니다
2016년 학점은행제 원격기반 학습단위과목 평가인정 신청서 제출
학점은행제 교강사강의평가위원회운영‧관리규정
[북극자원]한국의 북극개발 현황과 향후전망 보고서
샤넬 CHANEL 기업핵심역량과 샤넬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샤넬 ..
(가족복지) 영국의 일과 가족 균형 현황과 실제 보고서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해서(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만1세 관찰일지, 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
GS25 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 및 GS25 SWOT분석과 GS25 미래방향제시
[행동주의상담이론] 행동주의의 인간관과 이론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