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대중화론

1. 문학대중화론완성.hwp
2. 문학대중화론완성.pdf
문학대중화론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본론
1. 김기진 <프로시가의 대중화>
2. 임화 <탁류에 항하여>
3. 권환 <무산예술운동의 별고와 장래의 전개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카프 내에서는 한설야의 <1928년의 대중 간의 문예관계는 어떻게 진전될까>를 시작으로 예술의 대중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좀 더 발전적으로 전개된 것은 그 다음 단계에서 검열이나 탄압을 문제 삼아 김기진이 통속소설이나 대중소설을 주장하면서 대중에게 흥미 있는, 대중이 환영하는 작품을 만들자는 대중추수적인 입장을 내세운 데 대해 김두용과 임화가 그것은 예술운동의 원칙을 망각한 오류라고 격렬하게 비판하면서이다. 이 대중화 논쟁을 통하여 예술의 민중연대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또 그 결과로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합법적인 작품 활동에 한정된 김기진의 대중화론을 비판했던 임화 등이 볼셰비키화의 선두에 섰던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볼셰비키적 대중화론의 단계에서는 창작방법론, 작가개조문제, 조직문제에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되기에 이른다.
본고에서는 김기진의 <프로시가의 대중화>와 임화의 <탁류에 항하여>, 그리고 권환의 <무산예술운동의 별고와 장래의 전개책>을 통해 김기진의 대중화론부터 볼셰비키적 대중화론까지의 논쟁 양상을 알아보고, 각각의 한계와 의의를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김기진 <프로시가의 대중화>

<프로시가의 대중화>는, 시문학 작품의 대중화에 관한 김기진의 주장을 전반적인 무산계급운동의 대중화론과 연관 지어 정리한 글이다. 그는 이 글의 서두에서, 오늘날 조선의 무산계급운동은 그 전체가 대중 속에 깊이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예술운동 역시 거기서 예외가 아님을 주장한다. 이 글에서도 그는, 프롤레타리아 시가의 목적은 대중을 소부르조아적 내지 봉건적 취미로부터 구출하여 그들에게 참된 의식을 갖도록 하는데 있음을 확인한다. 그러나 현재 자신들의 예술은 대중에게 쉽게 섭취되고 있지 않은 바, 그가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이하생략>
문학, 국어, 김기진, 임화, 권한
김기중, 「김기진의 문학 비평 연구」,『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97.
김성수, 「1930년대초의 리얼리즘론과 프로문학」, 『반교어문연구』, 반교어문학회, 1988.
김영민,《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8.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지음,《카프 문학운동연구》,역사비평사, 1989.
이승철, 「카프의 방향전환기를 전후한 문학논쟁 고찰」, 『어문논총』, 1993.
허형만․이훈, 「카프의 문예대중화 논쟁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