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대중화론

1. 문학 대중화론완성.hwp
2. 문학 대중화론완성.pdf
문학 대중화론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문학대중화론의 대두 배경

2. 통속소설론과 문학대중화론
2.1. 문예시대관 단편 - 통속소설 소고
2.2.「대중소설론」
2.3. 「단편서사시의 길로」

3. 문학 대중화론의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1. 문학대중화론의 대두 배경

1920년대 후반 30년대 초에 걸쳐 문학대중화론이 대두하게 된 원인은 다음 몇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먼저, 당시의 사회상황, 일본제국주의의 식민통치와 관련된 억압적 상황의 출구로서 이것이 논의 되었다. 즉, 일제의 문학적 검열을 피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가 대중화론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사회적 상황이 대중화론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만으로 당시 대중화론 출발 요인이 전적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무엇보다도 이 논의는 김기진이 박영희와 함께 주고 받았던 문학의 내용 ․ 형식에 관한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문학대중화론은 단순히 문학 외적 상황과 관련된 우연한 논의가 아니라, 문학이론 논쟁의 전개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김기진은 박영희와의 내용 ․ 형식 논쟁에서 자신의 견해를 철회하고, 일정한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프로문학에서 내용의 우위성에 대해 동의하는 발언과 함께 사과로 논쟁을 끝맺었다. 하지만 이는 외부의 압력 등으로 인해 자신의 주장을 잠시 접어둔 것일 뿐 김기진의 의중에는 프로문학이 지향할 문학적 형식에 관한 논의가 그대로 살아 있었고, 이것이 일정한 계기를 맞아 대중문학론이라는 양상으로 다시 표현되었던 것이다.
또한 문학대중화 논의는 바로 앞 시기에 행해졌던 <카프>의 제1차 방향전환론 및 그 조직 개편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카프>의 1차 방향전환론의 요지 가운데 하나가 ‘문학활동’을 극복하고 ‘문학운동’을 지향하는 일이었다. 또한 ‘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일 가운데 하나는 대중성을 확보하는 일이었다.
문학, 국문학, 대중소설, 통속소설, 대중문학
김영민,「한국문학비평논쟁사」,한길사,1992.
김영민,『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1999.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지음,《카프 문학운동연구》,역사비평사,1989.
이현식,「카프 대중화론 연구」,원우론집, 연세대학교대학원원우회,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