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신건강과 복지향상 방안 보고서

1. 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신건.hwp
2. 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신건.pdf
교수님께 여러번 자문을 구하고 조모임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직접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잘되어서 뿌듯하고 학점도 잘 받았습니다.
Ⅰ. 서론


Ⅱ. 본론

1. 다문화사회와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해

2. 여성결혼이민자자의 정신건강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신건강

4. 심리적 복지향상을 위한 방안


Ⅲ. 결론
Ⅰ.서론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06년의 국제결혼 건수는 1990년에 비해 8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고 국제결혼의 백분율이 전체 결혼의약 12%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 결혼이 1990년 619건에서 매년 증가하여 2006년에는 30,208건으로 전체 국제결혼 건수의 76.1%에 이르렀다. 아울러 농촌지역 남성이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백분율이 2006년 41%에 이를 정도로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한국 결혼 관행의 큰 변화가 계속 되고 있다.
이렇게 국제 결혼으로 인한 이주 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에 여러 가지 문제점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결혼 후 한국에 와서 겪게 되는 다양한 문화적응 문제들은 심각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으며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박은진, 2007). 타문화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해야 하는 경우 문화적응 과정은 개인에게 주류 사회의 문화적 맥락과 기대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요구하기도 하며,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심리 및 사회적 문제들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적응 과정에서 심리적인 어려움들이 개인의 대처능력을 넘어설 때 우울, 불안과 같은 심각한 정신건강 상의 문제가 유발되며, Keyes(2000)는 이주로 인해 개인이 느끼는 흔한 정신건강 상의 문제가 우울이라고 언급하였다.
이처럼 이주 여성들이 경험하는 여러 적응 문제의 핵심은 문화적응과 관련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적응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와 갈등 등은 이주 여성들의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박은진, 2007). 이주 여성들의 문화 적응 문제 이외에도 가부장적인 가족형태를 지닌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점인 가정 폭력으로 인한 문제점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이 파경에 이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고 결혼생활을 유지 하더라도 우울 등의 심각한 정신적인 건강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음을 선행연구에서 볼 수 있다. 이주여성의 문화적 적응과 사회� 지지, 가정폭력으로 인한 한국생활 부적응 양상에 대한 연구는 이주여성이 급속히 늘어나기 시작하는 2000년대 이후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주여성들의 학력, 연령, 결혼생활기간 등의 일반적 특성이 심리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는데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며 또한 문화적 적응과 사회적지지, 가정폭력이 이주여성들의 심리적, 정신적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해 알아보고, 함의점을 얻고자 한다.
이주여성정신건강,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아동, 정신건강론
1. 용효중(2009)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 및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아동기 자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 김선희(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 실태 및 결혼행복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3. 이승신(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4. 고은주(2009)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적응 스트레스, 가정폭력,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건강의 관계”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5. 설동훈 외(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 방안”보건복지부
6. 권구영․박근우(2007)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한국사회조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