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론
2.〈 춘향전〉연구사적 쟁점
1) ‘발생 및 기원’의 문제
2) ‘근원 설화’의 문제
3) ‘주제’의 문제
4) 작가의 문제
3.〈춘향전〉의 서사적 특징
1) 이본고
2) 〈춘향전〉의 기본 서사 구조
4. 〈춘향전〉의 구조적 특징
1) 극적 구조
2) 서술자 중개의 담론 구성
3) 장면 극대화의 원리
4) 다면적 인물의 형상화
5) 구성 내용의 불합리, 모순, 불통일성
6) 역동적 시간 구성
5. 문학사적의의 및 교육적 활용 방안
6. 결론
7. 참고문헌
1. 서론
〈춘향전〉은 18세기에 생성된 판소리 「춘향가」에서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이며 언제 누가 지었는지 작자는 알 수 없지만 광대가 판소리로 창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지어졌으리라는 것이 일반적이 견해이다.
영정조를 전후하여 귀족 주도의 문학에서 서민 주도의 문학으로 주도 되면서 가창을 위조로 하는 희곡적인 문학이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바로 판소리이다. 그리고 판소리의 사설이 문자로 정착된 것이 곧 판소리계 소설이다. 판소리계 소설이란 판소리 광대가 공연하던 판소리 대본(창본)이 소설 독자층의 요구와 講談師, 貰冊家, 방각본업자의 상업적 목적과 맞물려 독자를 위해 전사되거나 서사 기록물로 인쇄된 것으로 민중의 발랄성과 진취성을 기반으로 한 민중의 공동작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다양한 근원설화를 바탕으로 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형성된 공동작의 문학이요, 적층문학이다. 문체에 있어 판소리 사설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어 대체로 4음보의 율문체로 되어 있으며, 漢詩句대나 고사가 널리 동원되고, 일상적인 구어체 문장에서는 반복, 과장, 언어유희, 욕설 등을 사용하여 민중 문학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판소리계 소설은 지배계층의 횡포성과 부패성을 폭로하고 그들의 위선적인 생활을 풍자하려고 했기 때문에 해학이 필연적으로 동반되어 해학성이 풍부하게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당시의 성장된 민중의식과 체제 저항적인 면을 반영하고 있다. 이 점은 실학사상이나 기타 근대적인 소설이 대두되기 시작한 당시의 시대정신으로 말미암아 성장하고 있던 민중의식이 문학에 반영된 것으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판소리계 소설의 일반적 특징은 본 글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춘향전〉의 특징과 통한다.. 다음 글에서는 〈춘향전〉의 서사 및 구조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를 알아보고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 ․ 지도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