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곤장(棍杖) 태장(笞杖) 치는 데는 사령(使令)이 서서 하나 둘 세건마는 형장(形杖)부터는 법장(法杖)이라, 형리(形吏)와 통인(通引)이 닭쌈하는 모양으로 마주 엎뎌서 하나 치면 하나 긋고, 둘 치면 둘 긋고, 무식하고 돈 없는 놈 술집 벽에 술값 긋듯 그어 놓으니 한 일(一)자가 되었구나, 춘향이는 저절로 설음겨워 맞으면서 우는데.
“일편 단심(一片丹心) 굳은 마음 일부 종사(一夫從事) 뜻이오니, 일개 형벌 치옵신들 일년이 다 못 가서 일각인들 변하리까”
이 때, 남원부(南原府) 한량(閑良)이며 남녀 노소 없이 모여 구경할 제, 좌우의 한량들이,
“모질구나 모질구나, 우리 골 원(員)님이 모질구나. 저런 형벌이 왜 있으며, 저런 매질이 왜 있을까 집장 사령(執杖使令)놈 눈 익혀 두어라. 삼문(三門)밖 나오면 급살(急殺)을 주리라.”
보고 듣는 사람이야 누가 아니 낙루(落淚)하랴. 둘째 낱 딱 부치니,
“이부절(二夫節)을 아옵는데, 불경 이부(不更二夫) 이내 마음이 매 맞고 죽어도 이 도령은 못 잊겠소.”
셋째 낱을 딱 부치니,
“삼종지례(三從之禮) 지중한 법 삼강 오륜(三綱五倫) 알았으니, 삼치 형문(三治刑問) 정배(定配)를 갈지라도 삼청동(三淸洞) 우리 낭군 이 도령은 못 잊겠소.”
넷째 낱을 딱 부치니,
“사대부 사또님은 사민 공사(四民公事) 살피쟎고 위력 공사(威力公事) 힘을 쓰니, 사십 팔 방(四十八坊) 남원 백성 원망함을 모르시오. 사지(四肢)를 가른대도 사생 동거(死生同居) 우리 낭군 사생 간에 못 잊겠소.”
다섯 낱째 딱 부치니,
....
북한문학 ◈ 목 차 ◈
Ⅰ. 서론
1. 남북한의 이질화
2. 남북한 문학의 전개
Ⅱ. 남북한 문학의 이질성
1. 방법론의 차이와 문학적 괴리 현상
2. 필연의 이질성 노출
3. 정서적 동질성 모색
Ⅲ. 북한문학의 전반적 이해
..
[국문학] 고전문학으로 살펴보는 사랑과 정조 - 기생의 사랑으로 살펴보는 사랑과 정조
- 기생의 사랑으로 살펴보는
[목차]
1. 서론: 넌 나만 바라봐
2. 본론:
1) 기녀제도의 이해
- 기녀
- 이중적 성, 결합의 필요성
2) ‘고전문학으로 한국인의 사랑 읽기’ 의 에피소드 분석
- 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