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간호진단
■ 출산에 관한 스트레스, 부정적인 자아개념, 생활양상의 변화, 부적절한 지지체계와 관련된 비효율적 개인 대처
■ 심한 우울증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손상
■ 산후 우울, 부적절함, 망상과 환각과 관련된 변화된 부모역할
■ 산모의 우울증과 관련된 변화된 가족의 형성 과정
■ 산후 정신병과 관련된 손상의 위험
■ 산모의 우울증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가족의 대처
3) 계획과 수행
산모의 간호는 지지적 간호로 산모가 경험한 어떤 부정적인 느낌도 모두 표현하도록한다.
■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산모의 이해를 돕는다.
■ 집안일이나 신생아를 돌볼 사람을 구하며, 정서적 지지도 함께 하여 산모가 수면을 충분히 취하도록 한다.
■ 이완법을 가르친다.
■ 격려하고 지지체계를 확립시킨다
여성 정신건강 문제와 우울증, 화병, 여성 정신건강 증진방안 여성 정신건강 문제와 우울증, 화병, 여성 정신건강 증진방안
목차
*여성 정신건강
Ⅰ. 여성 정신건강 문제
Ⅱ. 우울증
1. 주부 우울증
2. 산후 우울증
3. 갱년기 우울증
Ⅲ. 화병
1. 화병의 정의
2. 화병의..
우울증 우울증 조울증
Contents
Ⅰ
우울증
Ⅱ
조울증
정의 증상 종류 테스트 원인 치료
정의 증상 원인 치료
Ⅲ
종교적 관점
기독교적 관점 불교적 관점
4. 교수설계에의 적용
2. 조울증
1. 우울증
3. 종교적 관점
The blue..
[출산 이후의 부부역할] 산후우울증과 대처방안 [출산 이후의 부부역할] 산후우울증과 대처방안
임신과 마찬가지로 분만 역시 사회적, 심리적 인생사건이다. 분만은 고통과 공포 그리고 경이로움을 겪는 순간이다. 현대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건강한 여성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