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의 실용설, 정합설, 대응설에 대해

1. 진리의 실용설, 정합설, 대응설에 대해.hwp
2. 진리의 실용설, 정합설, 대응설에 대해.pdf
진리의 실용설, 정합설, 대응설에 대해
진리의 실용설, 정합설, 대응설에 대해

오늘날과 같이 혼란한 시기일수록 우리는 사물의 본질과 현상의 구조를 자세히 이해하고 파악하는 능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격변하는 시대일수록 이러한 능력을 지니기가 어렵고 이것으로 말미암아 혼란과 무질서가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 대처 방안은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옳은가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준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우리는 그것을 ‘진리‘라 부른다. 올바른 선택과 사고를 위해서는 논리가 필요하다. 진리는 정연한 논리 속에서 사고의 정당함을 밝히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 진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리에 관한 학설에는 대응설(對應設), 정합설(整合設), 실용설(實用設)이 있다. 이것들을 순서대로 설명하고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하고 과연 어떤 진리를 따라야 옳은 것인지 생각해 보려고 한다.

진리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철학자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들 수 있다. 그는 [형이상학](Metaphysics)에서 ‘진리와 허위는 사태 그 자체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유 속에 있는 것‘임을 강조했다. 이것은 ’사과는 빨갛다‘라는 판단은 사과가 빨갈 경우에, 바로 이 경우에만 진리가 되며 그것은 내가 그렇게 판단했기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사태가 그렇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생각하기에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세의 스콜라 철학에서도 진리의 기준은 ‘사물과 지성과의 일치’(adaequatioreiet intellectus)여부에 달려 있다고 공식화 하였으며, 러셀(B. Russell)도 기꺼이 이 견해를 받아들였다.
이것을 진리의 대응론(對應設)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대응이란 우리들의 판단이나 신념, 혹은 그것을 표현하는 문장과 객관적 사실 사이의 대응을 의미하고 상식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진리의 기준과 잘 들어맞는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