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며
Ⅱ. 본 론.
1.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
가. 미국의 한반도 정책의 변천과정.
나. 미국의 한반도 통일정책.
다. 미국의 대 한반도 정책의 특징.
2.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
가. 과거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의 변천과정
나. 중국의 대한반도정책 변화요인.
다. 신세계질서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기조.
3. 중.미 관계속에서 한국의 외교 전략
가. 중.미 간의 외교관계
나. 중·미 외교 갈등 현안
다. 한국의 미·중 양국 사이에서 외교전략
Ⅲ. 결 론.
들어가며
김정일 북한 북방위원장 사망 이후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김정은 후계체제의 연착륙 을 지지하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반도 정세의 급변을 차단하려는 미·중의 전략 기조는 대북 식량 지원이라는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김 위원장의 사망에 대한 미·중 양국의 반응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김정은으로의 권력 이양을 부정하는 반응이 없다는 점이다. 이미 북한과 전략적 협력 관계가 상당히 진척된 중국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중국 수뇌부가 베이징(北京) 주재 북한 대사관을 찾아 조문하며 김정은 후계제체에 대한 지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미국의 반응은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의 조문 외교 보다는 격이 떨어지지만, 김정은 후계체제를 지칭하는 새로운 리더십 에 기대와 희망을 걸고 있다 고 밝히면서 혼란 없는 권력 이양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미·중의 행보는 외교적 제스처로만 그치지 않고 있다. 키워드는 식량 이다. 우선 북한이 김정일 사망 소식을 발표한 다음날 북한과 미국은 뉴욕채널 을 통해 대북 식량 지원과 관련된 논의를 했다.
....
신국제질서와 한국의 외교과제 신국제질서와 한국의 외교과제
오기평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장)
I.서언
이 글은 한국외교를 재조명함으로써 오늘날의 신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새로운 중.장기적 외교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6자회담 6자회담
6자회담 지속, 北선제공격 만지작, 만지작
[미대선 이후 전망] 경제 유가상승은 악재, 단기적 수출상승 기대
부시 대통령의 재선이 유력한 상황에서 향후 한반도 영향에 대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아직..
한국미의 탐구 한국의 미
한국의 미를 한마디로 말하면, 그것은 ‘자연의 미’라고 할 것이다. 자연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것은 한국적 자연으로 한국에서의 미술 활동의 배경이 되고 무대가 된 바로 그 한국의 자연이다.
자..
고르바초프시대의한·
고르바초프시대의 한․소관계
서론
‘역사는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다’ 라는 말이 있다.
불과 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미국과 소련의 냉전체제아래 세계는 항상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한국 또한 마찬가지로 북한과..
[정치외교학 논문] 통일기회 확보를 위한 한국의 4강외교 강화 방안 통일기회 확보를 위한 한국의 4강외교 강화 방안
[목차]
1. 서론: 문제의 제기
2.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가능성 진단
가. 최근 북한정세의 불확실성
나. 북핵문제와 체제내구력
다. 최근 북한 내부의 주요 ..
구한말부터 대한제국기 한반도 중립화론에 관하여 1. 머리말
2. 정한론의 대두와 일본의 한반도 침략
3. 개항 이후 조선의 외교관계
4. 한반도 중립화론의 등장
5. 청일전쟁 이후 급변하는 국제정세
6. 대한제국 시기 중립화론
7. 러일전쟁과 중립화 정책의 종말
8..
한미관계에 따른 중국의 한반도 인식변화 Report
( 한미관계에 따른 중국의 한반도 인식변화 )
목 차
Ⅰ. 배경
ⅰ. 북·중 관계
ⅱ. 한·미 관계
ⅲ. 중·미 관계
Ⅱ. 한미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인식추이
ⅰ. 이승만 행정부 시기
ⅱ. 박정희 행정부 시기
ⅲ...
중국과아프리카외교,중국과아프리카외교현황,중국 아프리카 외교역사 중국과 아프리카 외교
Ⅰ. 서론
자원외교의 시험대, 지금 세계는 검은 대륙에 집중하고 있다. 유가에 이어 원자재 가격까지 연일 상승하면서 자원부국으로 세계의 발길이 쇄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