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리학 : 11, 12세기 중국에서 발달된 유교 철학, 우리나라 고려말에 도입,
조선 500년 통치이념
윤리도덕적 측면의 가치 추구 이론인 한국 성리학을 16세기 독자적 이론으로 창출시킨 퇴계와 율곡의 이론을 중심으로 다루어 보고자 함은 선조들이 추구한 윤리사상과 도덕적 가치 추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임하는 삶의 자세 중 윤리*도덕적 측면에 관해 자성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우리 모두가 보다 통합적이면서 평형감 있는 인간 본연의 건강하고 성숙한 인격을 되갖추기 위함이다.
(1) 퇴계 이황의 사상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호는 퇴계.
▶ 사회적 부조리와 무질서한 상황의 전개는 개인이나 집단이 공의와 사리의
분별을 명확하게 하지 못한 데서 기인.
▶ 공리와 사리를 엄격히 구별, 천리와 인욕의 엄격한 분별을 뜻하는 것 주장.
▶ 정치 현실에서 떠나 학문을 닦음으로써 ‘입언수후’ 하여 도를 전해주는 것.
▶ 경 공부를 통해 존양과 성찰을 지속, 성과 정을 다스리는 심의 기능이 성인의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다고 봄.
▶ 경의 상태는 노력으로 유지, 이 상태가 성격화될 때 성인의 인격 형성
▶ 현대 심리치료 개념으로 바꾸어 보면 자기통찰의 자각 상태를 통해 자기 자리
를 지키는 것.
▶ 인간 본성의 회복가능성은 인성에 희.노.애.락.애.오.욕이라는 칠정 이외에
본성의 단서가 되는 사단, 즉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이부여되어
....
성리학에 대한 개념과 정의 및 퇴계이황과 율곡이이가 내세웠던 이기론 등 - 目 次 -
Ⅰ. 序論 --- 1p
Ⅱ. 本論 --- 2p
1. 성리학의 도입
2. 성리학이란
3. 성리학 이론체계
4. 주요인물 --- 3p
4-1. 퇴계이황의 성리설 및 영남학파
4-2. 율곡이이의 성리설 및 기호학파
5. 퇴계이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