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1. 성리학.hwp
2. 성리학.pdf
성리학
중국에서 시작된 유학은 한국에 들어와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본성과 우주론 등을 다루는 성리학은 중국보다도 우리 나라에서 더욱 발전했으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이다. 학문과 정치가 일치했던 조선시대의 특성상 이들의 학맥을 잇는 인물들이 조선 중기 이후를 지배했기 때문에 두 사람이 지니는 비중은 더욱 커진다.
유교철학은 理氣論으로 대표되며, 이기는 유학의 논의의 중심이 되는 만큼, 율곡의 철학관념을 살피는 데 있어서도 먼저 그의 이기에 대한 개념부터 알아보는 일이 필요하다. 이기론은 우주현상과 인간의 도덕실천의 문제에 관한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해명을 위한 이론이다.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은 理와 氣로써 구성되었으며, 이와 기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다고 말한다. 즉, 유형적 존재는 모든 무형의 원리 또는 원인에 의하여 생성․변화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율곡의 이기에 대한 관념은 그의 여러 논저 가운데 다각도로 설명되어 있는데, 그것은 간추린다면 아래와 같이 요약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理는 太極이요, 氣는 陰陽이다.”
“性은 理요, 心은 氣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와 기에 의한 존재론적 규정과 생성론적 설명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칙 위에서 관계를 맺고 있다. 즉, 이와 기는 서로 떠날 수 없는 관계 위에 있고, 동시에 서로 섞일 수 없는 관계에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기론은 적어도 理 없는 氣나 기없는 이만을 전제할 수 없으면서도 이는 이이고 기는 어디까지나 기라고 규정한다.
율곡의 철학은 전반적으로는 퇴계 이황과 마찬가지로 ‘理’를 강조하는 입장에 서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율곡은 서경덕과 기대승으로 이어지는 ‘氣’를 중시하는 철학을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명대 유학의 새로운 경향을 수용하여 퇴계의 철학이 지니는 ‘이’에로의 편중성을 지양하고 ‘이’와 ‘기’를 균형 있게 조화시키는 철학체계를 이룩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