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술의 사실주의가 지닌 시적인 속성은 다큐멘터리의 진실 주장에 새로운 관점을 도입한다. 다큐멘터리는 사실적인 현실 재현에서 어느 매체나 양식보다 우월한 지위를 누려왔다. 우선 영화란 매체 자체가 지닌 과학적인(객관적인) 기록의 가능성은 발명된 초기 단계부터 각광을 받았다. 인간의 눈은 불완전하지만 카메라의 눈은 인간의 눈이 지닌 한계를 뛰어넘어 사실을 그대로 기록해낼 수 있다는 믿음은 영화라는 매체가 과학적인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 것이었다.
사물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고 믿는 영화의 사실주의는 일종의 인식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영화가 가진 과학적인(객관적인) 기록의 가능성을 어떤 미학적 태도보다도 신뢰하고 강조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진실]을 말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현실 세계를 알 수 있는 유일한 표상]의 지위를 스스로 공표하는 것이다.
“[사실주의자]가 된다는 것은 가능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사실주의의 토대위에서 실제로 있었던 그대로 사물을 보거나 현실에 대한 명백한 이해로부터 타당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본질적인 [사실주의]는 바로 인식론적이며 윤리적인 것이었다.”
2. 사실주의 인식론에 기반한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 역시 이러한 사실주의의 인식론에 기반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의 인식론은 극영화의 사실주의 보다 더 사실주의의 원형에 접근해 있다. 왜냐하면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세계는 극영화와 다르다고 보기 때문이다. 극영화의 사실주의가 제시하는 그럴듯한 세계가 본질적으로 허구적 세계임에 반해 다큐멘터리가 지시하는 세계는 역사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또는 과거에 가지고 있었던) 현실 세계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현실 세계와의 직접적인 중재로서 다큐멘터리는 간섭을 억제하고 지나친 미학적 충동의 개입을 자제하도록 요구받는다. 다큐멘터리의 사실주의적 태도를 인식론인 동시에 윤리라고 말할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다.
....
다큐멘터리의 정의 문제 다큐멘터리의 정의 문제
1. 들어가며
다큐멘터리를 명쾌하게 정의내리는 것은 간단치 않은 문제이다. 심지어 다큐멘터리란 용어가 일상화된 방송 현장에서도 일치된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 다큐멘터리는 그 ..
다큐멘터리의 역사서술과 서사성 다큐멘터리의 역사서술과 서사성
1. 들어가며
우리의 문화활동과 산물, 그리고 그에 대한 체험은 서사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다. 서사에 대한 지향은 거의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해도 지나친 말이 ..
초기 기록영화와 서사 초기 기록영화와 서사
1. 초기 기록영화의 개념과 상황
영화의 역사가 곧 다큐멘터리의 역사와 일치한다는 견해는 뤼미에르의 영화가 현실의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1895년의 뤼미에르의 영화로..
고전적 다큐멘터리와 서사성 고전적 다큐멘터리와 서사성
1. 고전적 다큐멘터리의 개념
우선 여기서 말하는 [고전]은 [본보기가 되는 모범적인(exempliry) 사례]의 의미가 아니다. 그것은 [전형적(typical)]이고 [지배적(dominative)]인 경..
[교양, 연극영화] 내러티브에 대해서 내러티브
초기 영화
과학적 탐사 및 뉴스 취재나 다큐멘터리의 도구, 회화의 연장, 시골 장터의 단순한 눈요기거리
이야기(하기의 미디어)보다는 전시 혹은 소개presentation(의 미디어)로 인식, 단순한 기록 보존..
서사이론,후기구조주의문학이론,페넬로페의천짜기,에로스적욕망,소설의플롯 서사이론●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 페넬로페의 천짜기, - 에로스적 욕망과 소설의 플롯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후기 구조주의 문학이론 - 서사이론
페넬로페의 천짜기
쉬탄젤의 『서사이론』
* ‘페넬로페의..
[다큐멘터리 제작] 다큐멘터리의 구성과 해설(나레이션) [다큐멘터리 제작] 다큐멘터리의 구성과 해설(나레이션)
목차
* 다큐멘터리의 제작
Ⅰ. 다큐멘터리의 구성
1.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2. 시간의 설정
3. 갈등과 구조화
4. 주인공의 매력 부각
5. 시퀀스의 구성..
청소년문화의 철학적 관점의 인식론적 접근과 존재론적, 가치론적 접근 청소년문화의 철학적 관점의 인식론적 접근과 존재론적, 가치론적 접근
목차
Ⅰ. 인식론적 접근
Ⅱ. 존재론적 접근
1. 현상학적 접근
2. 해석학적 접근
3. 실존론적 접근
Ⅲ. 가치론적 접근
*참고문헌
..
서사적 삶의 방식과 서사 정신 서사적 삶의 양식과 서사정신
80년대 한국문학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현상의 하나는 서사시와 서사시론의 생성이 확산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 서사시의 생산에 있어서는 고은.신경림.장효문 송구권.이동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