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피드(Speed) : 빠른 변화 속도로 기술․언론․외교․가정․개인 각 영역간 속도 차이 발생
※ 기업과 경제가 1시간에 100마일씩 움직이고 있다면 정부는 1시간에 10마일 밖에 움직이지 않아 속도간 괴리 발생
◦ 개인 맞춤형 생산(Full customization) : 고객이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Prosumer)하는 사회로 대량 생산방식 지속하면 소비자 저항(consumer revolt) 발생
◦ 잉여복잡성(Surplus complexity)/초복잡성(Super complexity) : 지식경제의 생산품들은 과도한 복잡성 창출(예: 빌게이츠의 MS)로 고객들의 반란 예상
◦ 사회 각 분야의 경계 붕괴 : 생산자와 소비자가 융합(Prosumer), 대학에서의 초학제적 경향 등 사회 전반에서 경계가 모호
※ 관료제는 여전히 제조, 금융, 마케팅 등 칸막이식으로 운영 → 수직적․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조직으로 변해야(예: TF team, IT networking)
□ 한국 경제 산업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가
◦ 한국의 잠재 저력은 사이즈에 있음 : ‘혁명경제’(Revolutionary Economy)에서는 작지만 똑똑한 경제 구조를 가진 국가(small countries with smart economies)가 유리
※ 유럽 25개국의 경우에도 강소국인 핀란드, 스웨덴, 아일랜드가 프랑스, 독일, 영국보다도 훨씬 경제적으로 잘해내고 있음
....
중소기업 대학원 대학 설립 기획(안) 참여적 국가기술혁신기획을 위한 프로그램적 수단
목차
1. 국가과학기술기획에서의 국민참여 필요성과 논리
2. 과학기술계의 현황과 문제점
3. 과학기술과 사회의 채널 구축 개념
4. 과학기술기획에 대한 시민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