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론적_관점의_시학
리포트 > 인문/어학
모방론적_관점의_시학
파워포인트
2012.03.28
27페이지
모방론적_관점의_시학
목 차
모방적 관점이란 시가 세계의 여러 현상들을 모방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모방(mimesis) 이란 용어 이외에도, ’반영(reflection) , 재현(represetation) , ‘재생(recreation)’, ‘모조(counterfeiting) , 모사(copy) 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본론에서는 모방론의 간략한 소개를 거쳐 다양한 이론들과 특성을 살펴보고, 관련된 비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함
3/27
서 론
플라톤
『대화편』
“시는 진리의 반영을
또 다시 모방한
허상에 불과하다”
4/27
모방론의 소개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모든 예술은 모방의
양식에 양식에 의해서
구별 된다.”
5/27
모방론의 소개
카스텔베트로 (L. Castelvetro)
- 모방을 [주워 듣는 것]으로 인식
마조니
- 모방은 실존하는 사실을 충실히 보여주는 것(icastic)
- 예술가 마음대로 꾸며 낸 환상적인 것(phantastic)
6/27
모방론의 소개
16세기 이태리 신플라톤주의자
- 시는 단순히 현상의 세계를 모방하지 않는다.
- 시는 영원한 형식(eternal form)을 모방한다.
독일 낭만주의 철학자들
ex) 쉘리, 노발리스
- 영향
영국 낭만주의 이론가들
ex) 블레이크, 코울리지
7/27
모방론의 소개
플라톤의 『공화국』10권
반영 반영
”
8/27
모방론의 이론
영원한 절대진리(idea)
감각세계
예술작품의 세계
진리에서부터 두 단계나 떨어진 세계로
이성보단 감정의 세계를 키운다.
-] 독자에게 악영향
-] “시인추방론”
....

-
바라보는 관점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을 통한 윤동주의 서시와 김소월의 진달래꽃 해석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을 통한 윤동주의 서시와 김소월의 진달래 꽃 해석
쾌락론적 관점에서의 해석
쾌락론적 관점에서의 해석
모방론은 문학을 현실을 반영하는 모사로 이해하며, 쾌락론은 ..
-
문학의 이해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 6p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이 있습니다.
이는 문학이 단순히 교훈을 주는데 그치지 않고, 독자의 감정을 해소하고 즐거움 혹은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는 쾌락론적 관점과 맞닿아 있다.
서시..
-
영문학과 2학년 문학의이해 중간과제물
작품 분석과 문학적 관점 적용
첫 번째 작품의 분석과 모방론·쾌락론·효용론 적용
두 번째 작품의 분석과 모방론·쾌락론·효용론 적용
작품 속 구절을 세 차례 이상 직접 인용하여 해석하고, 이를 개인의 삶과 경험..
-
국문학과 1학년 중간과제물 2025년 2학기 문학의이해
작품 해석과 문학적 관점 적용
윤동주 서시의 모방론·쾌락론·효용론적 해석
김유정 봄봄의 모방론·쾌락론·효용론적 해석
이번 과제를 통해 문학을 바라보는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의 관점을 구체적으로 적용해 보..
-
1학년 문학의이해 중간과제물 공통
작품 구절 인용과 모방론적 해석
작품 구절 인용과 쾌락론적 해석
작품 구절 인용과 효용론적 해석
작품 구절 인용과 모방론적 해석
작품 구절 인용과 쾌락론적 해석
작품 구절 인용과 효용론적 해석
이 구절은 현..
-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문학의 이해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모방론, 쾌락론, 효용론이 있습니다.
작품 해석 : 모방론·쾌락론·효용론
쾌락론적 관점에서 이시는 단순히 현실의 고통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답게 형상화된 언어와 운율을 통해 ..
-
이해 모방론쾌락론효용론 8p
효용론은 문학이 단순히 감상이나 즐거움의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에게 교훈을 주고 윤리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며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사회적·도덕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관점이다.
윤동주의 「서시」는 ..
-
문학의이해 2025년 2학기 방통대 중간과제물
김소월 「진달래꽃」-쾌락론, 효용론 중심 해석
서시」구절 3회 이상 인용 및 삶과 경험에 대한 성찰
진달래꽃 」구절 3회 이상 인용 및 삶과 경험에 대한 성찰
동시에 이 작품은 독자에게 '부끄럼 없는 삶'이라는..
-
1학년 2학기 문학의이해 2025방통대 중간과제물
헤밍웨이의 작품은 인간의 불굴의 의지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서사로, 효용론적 관점에서 문학의 교훈적 가치를 가장 강하게 드러낸다.
효용론의 관점에서 문학은 인간의 삶에 도덕적 교훈을 주고, 독자에게 '어..
-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예술 모방론의 제 유형
반영론을 이해한다면 간단하다.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모방한 것 예를 들어 증명사진은 단순한 재현이다. 허나 예술가가 자신의 모습을 예술적 표현으로 모방한 것은 예술이다. 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