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_아렌트(권력과_시민사회)

1. 한나_아렌트(권력과_시민사회).hwp
2. 한나_아렌트(권력과_시민사회).pdf
한나_아렌트(권력과_시민사회)
석사학위논문

권력과 시민사회
: 아렌트의 권력론을 중심으로

목 차

제1장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범위 및 논문의 구성 5

제2장 아렌트의 정치권력론 비판 7
1. 정치권력에 대한 일반적 고찰 7
1) 기존 정치권력 정의 8
2) 국가: 권력의 조직화 10
3) 인간 본성: 이기심/지배 본능 13
2. 아렌트의 비판 14
1) 개념적 오류: 권력과 폭력 15
2) 국가: 권위의 상실 18
3) 인간 본성: 평등/참여 본능 22

제3장 아렌트의 권력론 24
1. 아렌트의 권력론 개요 24
1) 소통권력(communicative power) 24
2) 공적영역(public realm) 27
3) 인간의 활동: 행위(action)와 말 29

2. 아렌트 권력론 비판과 옹호 32
1) 소통의 한계 33
2) 공적영역 참여 동인 35
3) 권력구현: 제도화와 조직화 37

제4장 소통권력과 시민사회 40
1. 시민사회에 대한 이론적 접근 40
1) 시민사회론 40
2) 아렌트의 대중사회 비판 42
3) 아렌트의 시민공동체 44

2. 한국 시민사회와 권력현상 46
1) 한국 시민사회의 특징 47
2) 강제적 권력현상 50
3) 소통적 권력현상 54

제5장 결론 57

참고문헌 62

Abstract 66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시민사회가 국가권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권력현상이 베버로 대표되는 ‘강제적 권력’관의 논의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시민사회의 권력참여를 국가와의 대립으로만 한정시킬 뿐 아니라, 시민사회의 권력참여가 지니는 본질적 의의를 축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