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서울광장’ 다음 모습은
‘ 광. 찾. 사 ’ 를 아시나요
‘ 광.찾.사 ’를 아시나요
‘광. 찾. 사 ’는 광장을 찾는 사람들을 말하고, 여기서 그토록 찾고자 하는 광장이 바로 오늘 우리가 알아 볼 ‘서울 광장’ 입니다.
과연, 이들은 왜 광장을 그토록 원하고, 그 높으신 분께서는 왜 광장을 막았는지, 서울광장의 의미와 시민의 권리에 대해 알아보면서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 서울 광장’은 어떤 곳
그저 외면적으로만 본다면 서울광장은 이런 곳 입니다.
서울시 중구 태평로 1가에 있는 잔디가 가득 깔린 공원.
폴 포츠와 같은 유명한 사람이 와서 공연을 해주는 문화의 장소.
얼마전엔 꽃까지 심어져 꽃을 보러 갈 수 있는 곳.
가족과 함께 손을 잡고 편히 쉴 수 있는 휴식처.
그러나
아시나요
그곳에서는 이런 모습도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초등학생도 다 아는 일이 바로 그 곳에서 벌어 졌습니다.
3. 1운동, 4. 19혁명,
한일회담 반대운동,
6월 민주항쟁 까지…....
맞습니다.
다, 옛날 이야기 지요.
그러나,
이곳 에서는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월드컵이 있었던, 2002년 6월.
미군 장갑차에 깔려 죽은 효순이 미선이를 위한
반미 운동.
2007년, 미국산 소고기를
먹기 싫다며, 꽤 오랫동안 했던
FTA 반대 운동.
‘서울광장’이 가지는 의미…
서울광장은 우리에게 이런 의미였습니다.
독재 정권이 지배했던 시절,
독재정권에 맞서 싸우게 했고,
나라가 힘이 없어, 거짓 판결할 때,
국민에게 최초로 발언권을 준,
힘없는 내가, 나라에게 할 말이 있을 때,
모두와 힘을 합치게 한,
시민의 불복종이란
....
광장 이후 혐오양극화 세대론을 넘어6p 광장은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민주주의와 집단적 시민의지를 상징하는 핵심 공간이었다.
책은 혐오, 양극화, 세대론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광장 이후 한국 사회의 현실을 진단한다.
광장 이후 한국 사회..
몸 스펙터클 민주주의 9p 독후감-『몸, 스펙터클, 민주주의 : 새로운 광장을 위한 사회학』
저자 김정환 과 장비는 『몸, 스펙터클, 민주주의』에서 "몸"을 단순히 생물학적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주체성의 기반으로 재해석한다.
스..
[민주주의론]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민주주의론]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목 차
1. 민주주의의 역사
2. 시민 권리를 찾게 된 계기
3. 민주주의
4. 데모스 ‘형상없음’ 과 민주주의의 ‘아르케없음’
5. 민주화 다수성의 정치에서 소수성의 정치로
6. 민..
몸스펙터클민주주의 서울극장 도시의 탈출 9p 도서명 : 몸, 스펙터클, 민주주의 : 새로운 광장을 위한 사회학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죽음의 스펙터클"이 민주주의를 고정된 기억으로 만드는 동시에, 살아있는 몸들의 경험을 가려왔음을 지적한다.
저자는 민주..
도시계획에서 가로공간 고려(광장,주차장,지하가,공동구) 도시계획에서 가로공간 고려 (광장, 주차장, 지하가, 공동구)
1. 광장
도시의 발달에있어 광장의 역사는 고대의 도시국가에서부터 비롯된다. 고리스의 아고라(Agora)는 도시광장의 효시로서 그 이후 로마도시의 ..
광장
공간의 문화정치
;광장과 시장
0. 서론
얼마전 서울시청 앞 광장의 ‘개장’이 있었다. 이는 지난 2002년 월드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광장문화’의 일환이다. 이처럼 우리사회는 ‘광장’과 관련한 공간배치와 그속..
서울광장 예술프로그램 기획안 - 기획서 요약 -
서울 시청앞 광장에서 하이서울 페스티발이 끝난 후 5월 말부터 10월말까지 문화행사가 진행된다. 대중성과 예술성의 문화행사로 다양한 장르와 체험성, 휴식성 프로그램으로 시민의 호응도 극..
국외(유럽, 미국, 일본)의 스팸메일에 관한 정책 검토 국외(유럽, 미국, 일본)의 스팸메일에 관한 정책 검토
1. 유럽
EU-EP(European Union-European Parliament : 유럽연합-유럽의회)는 스팸 이슈를 다루면서 원하지 않는 상업적 이메일을 보내기 전에 이용자의 허..
광장 이후 혐오 양극화 세대론을 넘어 책 제목 : 광장 이후-혐오, 양극화, 세대론을 넘어
광장 이후 』에서 가장 먼저 주목하는 문제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혐오의 정치이다.
광장 이후 』는 혐오와 더불어 오늘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또 다른 핵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