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소 설
개화기
~
1910년대
- 고전 시가 양식과 근대시 양식이 공존
- 개화 가사, 개화 시조, 창가, 신체시
- 애국, 개화 사상을 내용으로 함
- 고전 소설과 현대 소설의 징검다리 역할
- 신소설(혈의 누, 자유종 등)
- 개화 사상, 교육 입국
- 이광수 ‘무정’
1920년대
- 이상화(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김동환(국경의 밤)
- 시조 부흥 운동(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 한용운(임의 침묵), 김소월(진달래꽃)
- 경향시
- 가난을 소재로 한 소설(운수 좋은 날, 만세전, 가난한 사람들, 인력거꾼)
- 경향 소설(조명희, 최학송)
- 전반기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모습, 후반기는 급진적 태도로 억압적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작품
1930
~
1940년대
- 순수시(언어의 예술성과 음악성 중시)
: 박용철, 김영랑
- 모더니즘(시각적 이미지) ; 이미지즘
: 김광균, 이상, 정지용
- 생명파(인간과 생명의 탐구) : 서정주, 유치환
- 저항시 : 이육사, 윤동주
-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양분
- 이기영, 김남천 ; 비참한 현실
- 이상, 박태원 (모더니즘)
- 다양한 소설 유형(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소설)
광복 직후
- 청록집(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윤동주)
- 일제의 포악함과 당시 한국인의 참혹산 삶을 실상을 드러낸 작품
1950년대
- 전쟁시, 애국시
- 역사 앞에서(조진훈), 보병과 더불어(유치환)
- 후반기 모더니즘
- 전시 소설(적개심 표출, 반공주의)
- 전후 소설 ; 전쟁이 남긴 상처, 한, 허무감, 절망, 죄의식(카인의 후혜, 불꽃, 오발탄)
- 가난, 부조리, 병 불신
1960년대
- 참여시
- 신동엽, 고은, 김지하
....
[한국문학] 기행문학의 이해 기행문학의 이해
Ⅰ. 기행문학의 정의 및 형식
기행문학(紀行文學, travel literature)이란 여행을 하면서 겪는 체험․견문․감상 등을 중심으로 한 문학을 말한다. 기행문학은 주로 일기․서간․수필 등의 형식으로..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목 차
Ⅰ 문학의 개관
1. 문학 일반의 고찰
(1) 문학의 기원
(2) 문학의 본질
(3) 문학의 특성
(4) 문학의 요건
2. 한국 문학의 흐름
(1) 한국 문학사의 시대 구분
(2) 한국 문학의 전체적 흐름
3. 문학..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1. 머리말
한국 현대문학 100 년을 뒤돌아보면 계층적 또는 계급적 인식틀로써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각이 문학사 전개를 주도한 힘의 하나로 작용했음을 손쉽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