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 소설 연구- ‘흥부전’을 중심으로 -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서론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가’의 성립
2) ‘흥보가’의 구조
3) ‘흥보가’에서의 인물분석을 통한 주제 찾기
3. 문학사적 의의
4. 교육적 활용 방안
5. 결론
◎ 참고 자료 ◎
1. 서론
우리 고전 소설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지금도 많이 읽히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흥부전’이 아닌가 한다.
‘흥부전’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판소리계 소설로 ‘흥보젼’, ‘장흥보젼’, ‘흥부전(興夫傳)’, ‘박흥보젼’, ‘연의 각(燕의 脚)’, ‘박타령’, ‘박흥보가’ 등의 이름으로 전해진다.1) 우리는 여기서 이 작품의 제목이 ‘-전’이라고 불리우는 것과 ‘-가, 혹은 -타령’으로 불리운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흥부전’이 판소리에서 연유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판소리인 ‘흥부가’가 소설로 정착되는 과정을 통해 그 당시의 모습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흥부전’이 우리에게 주는 문학사적 의의와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다.
2. 판소리로서의 ‘흥보가’
(1) ‘흥보가’의 성립
‘흥보가’는 설화에서 판소리로 다시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근원설화로는 몽고의 ‘박타는 처녀’가 ‘흥보가’의 근원설화라는 지적이 있었으며, 신라의 ‘방이 설화’가 ‘흥보가’의 인물설정의 근간이 되었으리라는 지적도 있었다.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흥보가’의 성립 배경을 살펴보면 처음에는 민담 형식의 ‘흥보이야기’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던 것이 판소리가 형성되었던 17~18세기 초 음악과 결합하여 적당히 긴 노래로 공연마당인 판에서 불리워졌을 것이다.
판소리는 무가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현재의 통설이다. 즉, 판소리가 판굿에서 벌어지는 여러 레퍼토리 가운데 하나로 존재하다가 유별나게도 인기를 누리게 되자 판소리만 따로 독립하여 하나의 무대를 꾸미게 된 것으로 보인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