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황의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
2) 조선시대 중엽(1501~1570)에 활동하던 대표적인 유학자
수학기(修學期) → 유교경전 연구(주자의 『사서집주』를 비롯한 성리서)
사환기(仕宦期) → 벼슬살이(진사 합격 후 성균관에 들어간 이듬해 장원급제)
강학기(講學期) → 연구, 강의, 저술에 전념
; 진사 합격 후 성균관에 들어가 이듬해 문과에 급제, 단양군수, 풍기군수를 역임
3) 후에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여 계상서당(溪上書堂),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세워 학문에
정진
2. 퇴계 학문의 이해 배경
1) 정주, 주자를 표준으로 삼음 → 정주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만을 인정
2)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를 바탕으로 학문의 체계를 완성하려고 함
3) 거경 : 궁리에 임할 때의 마음가짐
3) 궁리 : 세상과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
→ 이(理)와 기(氣의) 개념
→ 심(心)과 성(性)과 정(情)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
4) 이(理)와 기(氣) : 우주 천지의 존재 근원을 설명하는 원리 개념
5) 주리론(主理論) : 이(理) 위주로 우주를 설명하는 것(퇴계 이황)
....
퇴계이황 Ⅰ. 退溪 李滉의 哲學思想
1. 生涯
退溪(AD, 1501-1570)는 朝鮮 理氣哲學을 集大成하고 또한 朝鮮의 儒者型을 완성한 학자이다.
그는 性理學의 본질을 정밀하게 구명하여 조선 철학의 황금시기를 이루어 놓..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
제 12 편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Ⅰ)
☞ 제 3 장, 제 4장 요약
제 12 편 조선 중기의 성리학설(Ⅰ)
제 3 장 이황의 철학사상
* 퇴계 이황
① 일생은 문과 관직생활이 병행
② 철학은 대승과의 사칠론
③ 윤리는 경..
이황_(발표자용) [서론]
이황 교육사상의 철학적 기초와 인간관
동방의 주자로 일컬어지는 이황(李滉, 號 退溪, 1501-1570)은 한국의 교육사상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조선시대의 사회이념이었던 도학사상..
성리학 중국에서 시작된 유학은 한국에 들어와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본성과 우주론 등을 다루는 성리학은 중국보다도 우리 나라에서 더욱 발전했으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