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력과 사목권력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를 이루면서 근대의 사회적 지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우리는 국가론에 대한 중요한 함의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국가 그 자체를 재개념화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렇게 해야만 할 필요성이 도출된다. 법적 주체에 대해 행사되는 정치권력과 살아있는 개인들에 대해 행사되는 사목권력. 집중화되고 또 집중화하는 권력의 정치 형태(국가)와 개별화하는 사목권력. 개별화하는 동시에 전체화하는 권력의 형식으로서의 국가 권력. 한편으로는 국가가 사목권력과 대비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안에서 정치권력과 사목권력이 동시에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동요는 푸코가 국가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려고 하면서도 사목권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설명적으로 동원될 수 밖에 없는 요소임을 자인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푸코가 국가에 대한 연구를 멀리했던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 하나는, 그가 국가를 지나치게 제한된 범주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가는 일반적으로 법률적․제도적 차원에서만 파악된다. 또한 국가는 권력의 응집점으로 사고된다. 푸코 역시 국가를 이러한 방식으로만 이해했기 때문에 국가를 넘어서는 권력에 관심을 두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푸코는 국가에 비중을 둔 연구가 경향적으로 지향할 수 밖에 없는 종착점을 우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이 그 두번째 이유이다. 즉 푸코는, 사회적 지배의 문제를 해명하면서 국가를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게 된다면 개인과 국가의 외재적 관계를 설정하고 양자를 대립적 관계로 -- 즉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로 -- 파악하게 되며 종국에는 사회적 지배를 해결하는 전략으로 국가의 타파를 채택할 수 밖에 없다고 보았다.
2. 정치권력과 사목권력
....
푸코의 권력이론의 일반적 특징 푸코의 권력이론의 일반적 특징
1. 들어가며
푸코는 권력의 일반이론을 연구의 중심적인 문제로 삼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저작을 남기지도 않았다. 그러나 권력에 관한 일반론이라 불릴 만한 형태로 푸..
푸코의 권력이론과 국가론의 접점으로써 정치권력과 사목권력 푸코의 권력이론과 국가론의 접점으로써 정치권력과 사목권력
1. 들어가며
푸코를 독해하는 일반적인 방식에 따르면, 이와 같은 그의 권력이론은 국가의 중요성을 포착할 수 없거나 국가를 권력으로 환원시켜 아..
푸코의 권력이론에서 전략적 게임과 지배의 수준 푸코의 권력이론에서 전략적 게임과 지배의 수준
1. 들어가며
기본적으로 푸코의 권력 개념은 편재성, 관계성, 유동성, 그리고 생산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권력이론과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것..
마르크스 이론에서의 권력 개념의 전환 정치학상 권력개념의 전환
1. 푸코와 마르크스의 권력 개념
푸코는 1970년 꼴레쥬 드 프랑스에서 행한 취임강연 언설의 질서 L Ordre du discours에서부터 이성과 권력의 연관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 강연..
푸코의 권력이론과 통치 테크닉 푸코의 권력이론과 통치 테크닉
1. 들어가며
지배적 수준에서의 권력은 통치 테크닉이라는 구체적인 권력의 기술들이 동원됨으로써 달성된다. 통치 테크닉은 전략적 게임의 수준과 지배의 수준 사이에서 양자를 ..
20세기의 정치 사회 현실과 푸코의 권력이론이 주는 함의 20세기의 정치 사회 현실과 푸코의 권력이론이 주는 함의
1. 20세기 정치 사회의 현상
지난 20세기를 돌이켜보면, 우리는 자연스레 정치․사회적인 냉전적 대립 구도를 떠올리게 된다. 이 대립 구도는 비단 현실 ..